中 사드 후폭풍…관광도 체질 바꿔야 살아남는다

전경련 "동남아 관광객 일시적 비자면제 등 정책 대안 시급"

출처:한국관광공사, 일본정부관광국<br />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사드로 인한 관광산업의 피해가 메르스 사태처럼 큰 규모로 확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한 일본 독도 분쟁 이후와 같이 장기간 이어진다면 수십억 달러 피해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전경련은 22일 기존에 중국과 일본에 과도하게 의존했던 관광 체질을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하며, 정부가 컨트롤타워가 되어 동남아 관광객의 일시적 무비자와 같은 규제완화 및 제도개선 등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전경련은 방한 외국인의 중국인 비중이 46.8%인 것을 감안할 때, 관광객이 절반으로 감소한 메르스 사태와 같이 큰 규모의 충격이 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메르스 사태 때는 여파가 2개월여였음에도 관광수입이 전년 동기간 대비 약 12억 달러 감소한 바 있다.또한 전경련은 사드와 같은 외교 문제는 장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지적했다. 신속한 대처를 하지 않는다면 관광산업에 수십억 달러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한국을 방문하는 일본 관광객은 2012년 독도 마찰 이후 3년에 걸쳐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으며, 이 수치는 현재까지도 회복되지 않고 있다.우리나라의 2016년 외국 관광객 현황을 살펴보면 중국 46.8%, 일본 13.3%, 미국 5.0%로 상위 3개국 비중이 65%를 상회하고 있다. 즉, 외국인 관광객 3명 중 2명은 중국, 일본, 미국인 중 하나인 실정이다.이에 반해, 관광 강대국들은 다양한 국가를 고르게 유치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태국은 상위 3개국 의존도가 42.2%에 불과하였으며, 이탈리아나 프랑스 등의 유럽 국가들도 40% 내외였다. 특히 이들 국가들은 최상위 국가의 관광객 비중이 20%대를 넘지 않아, 중국에 절반 가량을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와 큰 차이를 보인다. 외국인 관광객은 주로 서울 78.7%, 경기 13.3% 등 수도권을 위주로 여행할 뿐, 관광 자원이 풍부한 강원도, 경상도, 전라도를 방문하는 경우는 평균 3.1%에 불과하다. 주요 활동도 쇼핑(71.5%)에 집중되어 있어, 다양한 관광 선호도를 가진 외국인을 유치하는데 한계가 있다.전경련은 재방문율을 높이기 위해서도 다양한 지역관광이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독일 옥토버페스트 같은 축제관광, 뉴질랜드 바닷길 조성 등을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대만은 지난해 중국의 관광 제한 때문에 중국 관광객이 16.1%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관광객 유치 실적을 사상 최대치(1069만명)로 달성한 바 있다. 동남아의 조건부 무비자를 확대하고, 인기예능 ’꽃보다 할배 대만편‘과 같은 해외 마케팅을 적극 추진하여 동남아시아 및 한국, 일본의 관광객 수를 늘렸기 때문이다.전경련은 이와 같은 관광 다변화 정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하며, 동남아 관광객의 비자절차를 일시적으로 완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관광산업의 어려움을 감안하여 한시적으로 동남아 관광객의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는 것도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일본은 2008년 컨트롤타워인 관광청을 신설해 신속한 규제완화와 제도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2013년 동남아의 비자발급 요건을 완화해 태국과 베트남 관광객이 1년 만에 각각 75%, 53% 증가했다. 또한 면세점 즉시환급제를 도입해 우리나라 보다 60배 많은 3만 5천개 사후면세점을 운영(2016년 기준)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2016년 2,404만 명 관광객을 유치해 한국을 크게 역전한 바 있다. 추광호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관광산업은 소규모 숙박시설, 영세 관광버스, 지역 식당 등의 일자리와 생계가 밀접하게 연결된 내수 산업”이라며 “사드로 인해 중소, 영세기업의 피해가 특히 클 것으로 우려되는 만큼 정부가 비상 컨트롤 타워를 구성해 속도감 있게 현안들을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