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 소홀, 반사 이익 등 지적에 소신 발언 "닭값 인상이 치킨 최종가에 큰 영향 주진 않아"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이 16일 오전 경기도 판교 NS홈쇼핑 별관에서 열린 '나폴레옹 갤러리' 개관식에 참석해 기자들 질문에 답하고 있다.(사진 제공=NS홈쇼핑)
[아시아경제 오종탁 기자] 최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여파 속 하림그룹에 따가운 시선이 쏠리는 데 대해 김홍국 회장은 16일 "AI 발생 356개 농장 가운데 하림 산하는 3곳"이라며 "1%도 채 안 돼 결과적으로 우리가 방어를 잘 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정부의 치킨 가격 개입에는 "부자연스러워 보인다"고 지적했다. 앞서 AI 영향에 닭고기 가격이 고공행진하고 치킨값 인상 조짐도 나타나자 하림과 마니커, 동우, 체리부로 등 축산기업에 대한 책임론이 부상했다. 자연스레 업계 1위인 하림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가장 커졌다. 닭값 인상의 수혜를 톡톡히 본 데다 방역 책임도 나 몰라라 한다고 알려졌기 때문이다.김 회장은 이날 경기도 판교 NS홈쇼핑 별관에서 열린 '나폴레옹 갤러리' 개관식에 참석해 AI와 관련한 기자들 질문이 쏟아지자 작심한 듯 입을 열었다. 그는 "우리나라 산란계 농장 40%에서 AI가 발견됐다. 전체로 넓혀도 발생 농장이 20%"라며 "하림과 계약한 1200여개 농장 중 3곳에서만 AI가 검출됐는데, 시장 선도 업체다 보니 굉장히 많이 나온 걸로 생각들을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대부분 축산기업들은 농가와 사육 위탁 계약을 맺고 농가에 시설과 병아리, 사료 등 사육에 필요한 것들을 제공한다. 사육 농가는 이름 그대로 사육만 담당하고 닭을 출하하면서 축산기업으로부터 수수료를 받는 구조다. 운신의 폭이 좁은 사육 농가를 대신에 축산기업이 AI 방역에 적극 나섰어야 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이런 가운데 하림의 올해 1분기 실적이 '어닝 서프라이즈(깜짝 실적)' 수준일 것으로 예상되자 비난 여론이 일었다. AI발(發) 닭고깃값 인상분은 그대로 하림 실적에 반영됐다. AI 사태로 육계 공급이 10~15% 감소한 반면 가격은 그 이상으로 치솟았다. 농가와 치킨 업계 등에서는 하림 등 축산기업이 AI 방역을 허술하게 해놓고선 조용히 이익만 챙겨간다고 성토하고 있다.김 회장은 특히 농가들에 서운함을 표출했다. 그는 "우리는 사육에서부터 가공, 판매까지 통합 경영을 실현하고 있다"면서 "마진이 많지 않음에도 닭고기 98~99%를 농가로부터 공급받는 것은 상생 노력"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농가는 (이런 노력은 무시한 채) 수익 증대만 추구하고, 사회에선 농가를 약자로 규정하고 여기서 얘기를 주로 듣는다"고 토로했다.'한 쪽 부진을 다른 쪽에서 만회하는 하림이 아쉬울 게 없어 방역에 무관심하다'는 지적에도 김 회장은 "지주회사라 계열사 간 거래는 근본적으로 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다만 농가들과의 계약이 글로벌 경쟁 측면에서도 '마이너스'일지라도 상생 협력 차원에서 농가들에 계속 사육을 위탁할 계획이라고 김 회장은 덧붙였다. 그는 "닭고기 사업의 지난 10년 간 영업이익을 따져보면 제조업의 절반밖에 안 된다"며 "개인적으론 11살 때부터 가장 많은 애착을 갖고 매진하고 있는 축산 분야에서 농가들과의 계약을 앞으로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방역 논란과 함께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치킨값과 관련, 김 회장은 "정부가 치킨 가격에 간섭하는 것은 부자연스러워 보인다"고 말했다. 정부가 BBQ 등 치킨 프랜차이즈 업계의 가격 인상 조짐에 공개 압박을 가하자 업체들이 '알아서 기는' 분위기로 귀결되는 데 대한 비판이다. 김 회장은 김 회장은 "닭고기 등 원자재 가격이 떨어지고 오르는 것이 치킨 최종 가격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며 정부의 시장 개입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오종탁 기자 tak@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유통부 오종탁 기자 tak@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