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조영주 기자] 인도가 새로운 경제대국으로 떠오르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연평균 7%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주요 신흥국 가운데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인구 13억명의 거대 내수시장을 갖고 있고, 구매력 기준으로 세계 3위의 신흥 경제대국이다. 중국의 사드보복 공세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인도시장 공략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중장기 전략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8일 정부와 코트라(KOTRA)에 따르면, 인도는 1998~2007년 20년간 연평균 7.1%의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이는 BRICs 국가 가운데 중국(9.9%) 다음으로 높은 것이다. 특히,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일시적으로 성장률이 하락했지만 이후 다시 평균 7% 이상의 고성장을 보여 다른 BRICs 국가들과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앞으로 장기적으로도 인도 경제가 7% 이상의 고성장을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인도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도 2008~2015년 연평균 7.7% 증가했다. 2015년 인도의 1인당 명목 GDP는 1617달러 수준이지만 구매력 평가(PPP) 기준으로 6161달러로 평가된다. 중국의 PPP 기준 1인당 GDP가 1만4107달러인 것에 비해 절반도 안되는 수준이지만 그만큼 향후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대목이다.인도 재정수지는 만성적인 적자를 기록하고 있지만, 2003년 이후 GDP 대비 적자폭이 꾸준히 줄어들고 있고, 정부부채 비율도 함께 하락하는 추세다. GDP 대비 총부채 비율은 2015년 기준 67.2%로 높은 수준이지만, 신용등급회사 피치는 인도 장기국채의 신용등급을 투자적격 등급인 BBB-로 유지하고 있다.수출과 수입은 2000년대 들어 급격히 확대되는 추세다. 인도의 교역규모는 2000년 950억달러에서 2015년 7583억달러로 8배 가까이 증가했다. 만성적인 적자를 이어온 인도의 경상수지는 적자폭을 줄여 2013년 이후에는 관리 가능한 수준이 1%대를 기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입이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그러나, 우리나라와 인도의 교역 규모는 2000년 이전까지 전체의 1%에도 미치지 못했고, 그 이후 인도 경제성장이 가속화되면서 교역량이 늘었지만 그 비중은 여전히 2%에 그치고 있다. 2010년 1월 한국과 인도의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이 발효됐음에도 불구 우리나라의 대(對) 인도 교역은 고작 0.2% 증가했다.일본이 2004~2005년께부터 인도에 지원과 투자를 집중한 것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일본은 인도에 공적개발원조(ODA)를 가장 많이 지원하고 있고 스마트시티, 고속철도에 이어 원자력발전소 건설 관련 협정을 맺어 인프라시장을 선점하고 있다. FDI 규모에서도 일본은 우리나라보다 10배나 많은 수준이다.조충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인도남아시아팀 연구위원은 "인도는 향후 아세안(ASEAN) 전체보다 시장규모가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아직은 경제발전 초기단계여서 우리가 공략할 여지가 많다"면서 "우리나라와 인도의 협력기반은 대부분 만들어져 있는 만큼 앞으로 정부 고위급 책임자를 중심으로 인도 진출 전략을 마련하고, 강력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세종=조영주 기자 yjcho@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경제부 조영주 기자 yjch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