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산림자원에 ‘산업’과 ‘복지’ 양대 축 세운다

산림청은 지난달 28일 조직개편을 단행하고 '산업'과 '복지'를 양대 축으로 산림자원의 활용도를 높여간다는 방침이다. 산림청 제공

[아시아경제(대전) 정일웅 기자] 산림청이 ‘산업’과 ‘복지’를 각각의 키워드로 조직 내 체질을 개선, 산림자원의 활용 접촉면을 넓힌다.국토의 63%에 이르는 산림자원을 단순히 ‘자원’으로만 인식하지 않고 산업적 쓰임의 폭을 넓혀가는 한편 그간 가꿔온 숲을 국민건강 자산으로 활용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는 것이 체질개선의 주된 배경이다.산림청은 1일 정부대전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산업과 복지를 양대 축으로 조직을 개편·운영한다고 밝혔다.조직개편으로 종전 ‘산림자원국’은 ‘산림산업정책국’, ‘산림이용국’은 ‘산림복지국‘으로 각각 전환됐다. 이에 따라 ‘산림산업정책국’은 기존 산림자원국에 편재됐던 ▲산림정책과 ▲산림자원과 ▲목재산업과 ▲사유림경영소득과 등에 국유림경영과를 새롭게 편입(종전 산림이용국에서 이관)하고 목재·친환경·임산물·산림바이오산업 등 분야의 수요 증가에 대응, 임업경영을 조직·규모·전문화함으로써 숲을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 창출 및 확산을 도모한다.또 지난해 기준 총 42조원이던 산림산업 생산액을 양적으로 늘리는 동시에 질적 수준을 높여가는 데 초점을 둔다.개편된 ‘산림복지국’은 기존 산림이용국 편재의 ▲산림휴양등산과 ▲산림교육치유과 ▲산지정책과에 도시 숲 경관과 편입(종전 산림자원국에서 이관)하는 형태로 조직을 꾸렸다.산림복지국의 운영은 그간 가꿔 온 숲을 휴양과 치유 등 국민건강 자산으로 활용하고 산림복지서비스를 민간 산업화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특히 산림복지의 민간 산업화는 여가시간 증대와 산림 휴양객의 수요 증가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하나의 전략으로 설정됐다. 정부가 주도하는 산림복지에 한계점을 감안, 민간 경쟁체제의 산림복지 전문업 등록과 산림복지서비스이용권(바우처) 등 산림복지서비스를 국민에 제공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산림복지서비스 이용이 가능토록 한다는 맥락에서다.또 기존에 한시적으로 운영돼 온 ‘산림복지시설사업단(3과 15명)’의 존속기간이 지난달 27일 만료됨에 따라 해당 사업단을 폐지하고 조직개편과 맞물려 ‘수목원조성사업단(2과 9명)’을 신설, 국립세종수목원 조성과 한국수목원관리원 설립을 총괄케 한다는 것이 산림청의 복안이다.이밖에 기존 ‘해외자원협력관’은 ‘국제산림협력관’으로 명칭변경돼 국제무대에서의 산림분야 이슈와 의제에 선도적 대응에 주효한 역할을 하게 된다.신원섭 산림청장은 “산림청은 올해 개청 50주년을 맞이해 5년여 만에 조직개편을 단행, ‘미래 50년’을 준비하고자 한다”며 “새롭게 변화된 조직은 그간 국민과 함께 가꿔 온 산림자원을 ‘돈이 되는 일터’로 탈바꿈하고 ‘국민의 쉼터·삶터’를 조성하는데 역량을 집중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