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S 불완전판매 줄어들까…금감원, 고위험상품 숙지의무 가이드라인 마련

[아시아경제 황진영 기자]#1 "손실 설명 왜 안 해!"…올 상반기 증권 분쟁 774건 발생(2016년 7월 19일) #2 불완전판매 민원 많은 금융사 직원, 인센티브 깎인다(2016년 12월 4일) 지난해 주가연계증권(ELS)와 관련해 보도한 아시아경제 기사 제목이다. ELS는 ‘국민재테크’로 불릴 정도로 많이 팔린 히트 상품이지만, 불완전판매 논란도 끊이지 않았다. 위험을 제대로 설명하지 않고 수익률만 강조해서 판매했다는 것이 소비자 불만의 핵심이다. 금융당국이 ‘묻지마 ELS 판매’를 막고 개인투자자 피해를 줄이는 방안을 마련했다. 금융감독원은 ELS 등에 대한 금융회사의 상품조사, 숙지의무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고 5일 밝혔다. 이 방안에 따르면 금융회사는 고위험 금융상품의 손익구조와 기초자산에 대한 정보, 운용전략, 상품종류, 원금손실위험, 유동성 위험, 채무불이행 위험 등을 조사해 파악해야 한다. 금융회사가 조사해야 하는 고위험 상품으로는 ELS를 비롯해 파생결합증권(DLS), 파생결합증권 편입 펀드(ELF), 파생상품펀드(ELF 등), 파생상품펀드, 주가연계신탁(ELT) 등이다. 금융회사는 직원들이 이와 같은 고위험 상품의 특징 및 위험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상품 숙지 자료를 작성해야 한다. 이 자료에 적합 및 부적합 투자자 유형도 명시해야 한다. 금융회사는 판매직원들에게 자료를 제공하고, 상품조사와 숙지의무 이행 여부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해야 한다. 장준경 금감원 자본시장감독국장은 “금융회사 판매직원들의 고위험 상품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져 투자자에게 충분히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불완전 판매 가능성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황진영 기자 young@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황진영 기자 you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