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내년 재정지출 효과가 올해보다 떨어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내년을 앞두고 벌써부터 재정 조기집행과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요구 등 재정지출을 늘려야 한다는 논란 속에 나온 주장이어서 관심을 끈다.26일 국회예산정책처가 발간한 '재정지출의 분야별 경제적 효과분석 모형 연구'에 따르면 재정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지출 단위당 효과는 매년 감소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보고서는 연도별 재정지출 승수를 추정, 2014년 본예산에서 2017년 예산안까지 경제적 효과를 분석했다. 재정승수란 정부지출이 1단위 늘었을 때 국민소득, 고용 등이 얼마나 증가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연도별 재정지출을 재화·용역, 자본지출, 보조금·경상이전 등 3개로 나눠 국내총생산(GDP), 취업자 수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분석했다.우선 재정지출 별로 보면 재화·용역 지출, 자본지출, 보조금·경상이전 순으로 효과가 컸다.재화·용역의 경우 지출을 1조원 늘렸을 때 GDP 증가 폭은 2014년 8000억원에서 2015~2016년 6500억원까지 줄어든데 이어 내년에는 5600억원까지 떨어질 것으로 분석됐다.2014년 1만2700명이었던 취업자 수 증가 폭도 매년 줄어 내년 8300명 수준까지 내려앉을 것으로 추정됐다.내년 보조금·경상이전은 1조원 지출이 늘어날 때 GDP는 1100억원, 취업자 수는 2300명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2014년에 비해 GDP 증가 폭은 400억원 감소, 취업자 수 증가 폭은 1000명 줄어든 것이다.또 자본지출 1조원 증가에 따른 GDP 증가 폭은 1600억원으로 2014년과 차이가 없었으며 취업자 수 증가 폭은 1800명으로 같은 기간 200명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즉, 자본지출은 보조금·경상이전 지출과 지출 당해연도의 GDP 증가 효과는 비슷했지만 향후 5년간 누적 효과가 2배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장기적으로 더 큰 효과를내는 것으로 분석됐다.보고서는 재정지출 효과가 매년 감소하는 것은 경제개방 확대, 국채 재원조달에 따른 구축 효과 등 다양한 원인이 있다고 분석했다.이처럼 재정지출 효과가 해마다 줄어드는 만큼 재정에 지나치게 의지하면 자칫 정책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정부 관계자는 "정부지출의 효과가 떨어지는 상황에서 무조건 돈을 쏟아부으면 결국 일본처럼 경기부양 효과 없이 예산만 낭비하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며 "통화·재정 정책을 적절히 조합해 효과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