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의 경고…월급 3분의1 빚 갚는데 썼다

작년 부채보유자 원리금상환액가처분소득의 30% 넘어, 6년새 최고

사진=아시아경제 DB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주택대출 등 빚을 지고 있는 사람은 소득의 3분의 1을 부채를 갚는 데 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득 하위 20%는 소득의 절반 이상을 채무상환에 써 향후 대출금리 상승 시 경제 전체에 먹구름을 드리울 전망이다.19일 통계청 소득 5분위별 가계재무건전성 자료를 보면 지난해 부채 보유자의 원리금상환액이 가처분소득의 30%를 넘어서 통계 작성 6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2010년 23.9%였던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비율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2012년에 22.3%로 저점을 기록한 이후 3년 내리 상승하며 작년에 30.1%로 늘어났다.부채 보유자는 평균 9614만원의 부채를 지고 있는데 2010년 7722만원보다 1892만원, 24.5%나 증가했다. 이 가운데 70%에 달하는 6720만원이 금융부채였다. 다만 2010년 3464만원이던 부채 보유자의 가처분소득은 지난해 4511만원으로 1047만원, 30.2% 오르면서 부채를 갚을 수 있는 능력은 더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이들은 지난해 원리금으로 1359만원을 상환했는데, 2010년 826만원보다 무려 64.5%나 급증했다. 가처분소득 증가율의 2배 이상으로, 소득증가분 외에도 씀씀이를 줄여서 대출을 갚고 있다는 의미다.특히 저소득층으로 갈수록 소득의 대부분을 빚을 갚는 데 쓰고 있다. 소득 5분위의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상황액 비율은 26.2%이며 4분위는 30.6%인 데 반해 3분위는 32.5%, 2분위 42.9%로 늘어난다. 소득 1분위는 55.8%에 달해 빚 상환에 소득 절반 이상을 쓰고 있다.또 서민층을 중심으로 자산에 비해 부채 증가속도가 가팔라 상대적으로 위험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부채 보유자의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평균 22.8%인데, 소득 2분위는 25.0%로 전체 소득분위 가운데 가장 높았다. 이어 소득 4분위는 23.8%, 3분위 22.8%를 기록했다. 1분위와 5분위는 21.9%로 같았다.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은행 '소득분위별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자료를 분석한 것도 비슷한 결과를 보여준다. 지난 3년간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평균 처분가능소득 증가분은 448만원으로 이 가운데 79.4%인 356만원을 대출 원리금을 상환하는 데 사용했다. 소득 1분위는 처분가능소득이 79만원 늘었지만 원리금상환액은 83만원 증가해 소득 증가 이상을 원리금 상환에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박 의원은 “정부가 경기부양을 이유로 방치했던 가계부채가 미국 금리 인상이 다가오면서 한국경제의 뇌관이 됐다”며 “한계가구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이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