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아시아]오자로도 뉴스 검색되게 만든 허핑턴

철저한 뉴스소비 분석콘텐츠 제작부터 유통까지 클릭수 높이는 방식에 따라 운영
[아시아경제 안하늘 기자]지난 2005년 설립된 온라인 뉴스 매체 허핑턴포스트는 창간 6년만인 2011년 160년 전통의 언론사 뉴욕타임즈의 트래픽을 추월했다. 2012년에는 온라인 매체로는 처음으로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매달 2억명이 허핑턴포스트를 방문하고, 하루에 10개 언어로 1500개의 콘텐츠가 생성된다. 지난 2014년 2월 국내에 상륙한 허핑턴포스트코리아도 거침없는 질주를 하고 있다. 현재 허핑턴포스트코리아의 페이스북 팔로워는 52만명. 지난 5월 기준 월 이용자(UV)는 1000만, 페이지뷰(PV)는 5000만이다. 지난 3월 기준 국내 상위 23개 언론사의 PV는 4000만이다. 현재 허핑턴포스트코리아에서 근무하는 인력은 30명이 채 되지 않는다. 허핑턴포스트의 성공 비결에는 전문성과 온라인 맞춤형 전략이 있다. 허핑턴포스트의 콘텐츠는 각계 전문가들의 블로그와 기존 언론의 뉴스를 재가공한 형태로 꾸며진다. 미국에서 캘리포니아 주지사 선거에 출마한 이력을 가진 창업자 아리아나 허핑턴은 본인의 인맥을 활용해 사회 저명 인물을 허핑턴포스트의 블로거로 영입했다. 허핑턴포스트는 정치, 사회, 경제, 연예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에게만 블로그를 열어주면서 콘텐츠의 질을 높였다. 현재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노엄 촘스키 교수, 토니 블레어 영국 전 총리, 영화감독 마이클 무어, 배우 마돈나 등이 허핑턴포스트의 블로거로 활약한다. 지난해 소설가 신경숙씨의 표절에 대해 처음으로 문제제기한 곳도 허핑턴포스트코리아다. 당시 허핑턴포스트코리아에서 블로그를 운영한 소설가 이응준씨는 신경숙씨의 소설이 일본의 소설가 미시마 유키오의 작품을 표절했다고 주장했다.  재가공된 뉴스 콘텐츠는 모바일 이용자에 최적화된 형태로 제공된다. 콘텐츠는 제작부터 유통까지 이용자의 반응, 즉 클릭 수를 높이는 방식에 따라 운영된다. 지난 2008년 영화배우 히스 레저(Heath Ledger)가 사망했을 때 허핑턴포스트는 기사의 태그에 'keith'를 넣었다. 사람들이 'heath' 대신 'keith'로 검색하는 사람이 많다는 것에 주목한 결과다.  이와 함께 허핑턴포스트는 구글 검색에 잘 노출될 수 있도록 콘텐츠 제목에 동사 대신 명사를 주로 사용했다. 홈페이지를 방문한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할 수 있는 사진을 중심에 배치하는 전략을 폈다. 콘텐츠 제목도 독자의 반응에 따라 그때 그때 수정한다.  모든 콘텐츠는 제작한 에디터가 직접 페이스북에 게재한다. 허핑턴포스트코리아에서만 하루 70여개 콘텐츠가 페이스북을 통해 소개된다. 다음날 아침 회의에는 전날 게재된 콘텐츠의 페이지뷰, 호응도 등을 평가한다. 허핑턴포스트에서는 광고도 모바일 이용자에 최적화된 방식으로 제작된다. 기성 언론의 지면광고나 보도자료와는 철저하게 다른 방식이다. 허핑턴포스트가 제작하는 '네이티브 애드'는 광고주와 에디터가 함께 만드는 콘텐츠다. 광고라는 것을 정확히 표기하는 대신 독자에게 도움을 주거나 흥미로운 정보를 담는다. 가령 항공사에서 허핑턴포스트에 광고를 제의하면, 허핑턴포스트는 '파리에서 즐길 수 있는 10가지 재미' 등 광고주와 관련 있는 콘텐츠를 제작하고 하단에 광고를 연결한다. 강병진 허핑턴포스트코리아 에디터는 "기성 언론이 다루지 않는 개인들이 흥미를 가질만한 콘텐츠까지 함께 다룬다"며 "같은 뉴스라도 일반 언론사의 문체가 아니라 이미지, 움짤(짧은 동영상) 등을 활용해 모바일의 좁은 화면에서도 집중력을 갖고 볼 수 있도록 제작한다"고 말했다안하늘 기자 ahn708@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안하늘 기자 ahn708@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