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 없는 사회' 중국의 변화상…휴대폰만 있으면 '끝'

中 '현금 없는 사회' 휴대폰만 있으면 각종 결제 가능'즈푸바오(알리페이)' 등 모바일 결제 플랫폼 자리매김텅쉰(텐센트) 등 후발주자 무서운 추격…시장 점유율 지각변동편리성 최대 장점이지만 개인정보 유출 등 부작용 우려도

[아시아경제 베이징=김혜원 특파원] 중국 수도 베이징에 사는 한국인 임 모씨는 최근 황당한 일을 겪었다. 처음 보는 중국인이 지하철역에서 다짜고짜 휴대폰을 들이밀었다. 급히 외출하면서 지갑을 놓고 와 현금도 교통카드도 없으니 돈을 빌려 달라는 부탁이었다.그는 휴대폰 즈푸바오(支付寶·알리페이) 어플리케이션(앱)을 이용해 임씨의 앱 QR코드를 스캔하고선 은행 계좌에서 돈을 이체한 후 현금을 받아 유유히 갈 길을 갔다. 중국 대도시에서는 현금 한 푼 없이 휴대폰 하나만 있으면 음식을 비롯한 각종 배달이나 택시비 등 거의 모든 결제가 현장에서 쉽게 이뤄진다. 이처럼 중국의 모바일 결제 문화는 다른 나라의 추종을 불가할 정도로 빠르게 확산하는 추세다.중국 봉황망(鳳凰網)은 23일(현지시간) 중국 도시 거주자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최근 3개월 내 모바일 결제 플랫폼을 이용했다는 응답이 98.3%에 달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 산하 연구기관 컨피덴셜 리서치의 보고서를 인용 보도했다. 도시의 규모나 연령대, 경제력 수준 등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결론이 나왔다.

알리페이 기업이미지(CI)[사진:알리바바그룹 제공]

알리바바그룹의 즈푸바오는 대표적인 모바일 결제 시스템으로 '국민 앱'과 같다. 응답자의 79.5%는 즈푸바오를 사용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는 신용카드(45.5%) 체크카드(30%)는 물론 현금(79%)의 이용 비율마저 앞서는 수준이다. 즈푸바오의 이용률은 1선 대도시(79.3%)와 2선 도시(80.2%), 3선 도시(79%) 등 전 지역에서 골고루 높았다.모바일 결제시장의 즈푸바오 1강 구도를 위협하는 경쟁 상대는 텅쉰(騰訊·텐센트)의 차이푸통(財付通·텐페이)이다. 차이푸통은 텅쉰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웨이신(微信·위챗)을 기반으로 모든 결제가 가능해 시장 점유율을 순식간에 키우고 있다. 응답자의 26%는 차이푸통을 이용했다고 답했다.리서치기관 아이리서치에 따르면 텅쉰의 모바일 결제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20%로 한 해 전의 11%에 비해 9%포인트 커진 반면 같은 기간 즈푸바오 점유율은 82%에서 68%로 떨어졌다. 미국 애플의 애플페이를 사용한다는 응답자는 0.3%에 그쳐 현지 기업에 많이 뒤처져 있었다.모바일 결제는 슈퍼마켓이나 쇼핑센터를 비롯해 전기·수도·가스 등 공공요금과 통신비, 음식 주문, 티켓 예매, 외식 등 전 분야에 걸쳐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8~24세의 연령대에서는 88%가 모바일 결제 방식만을 고집한다고 답했다.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들은 중국 모바일 결제시장은 앞으로 더 성장하는 것은 물론 전 세계 1위 자리를 지킬 것으로 내다봤다. 이날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모바일 결제시장 거래액은 2350억달러로, 미국(2310억달러)을 처음으로 제쳤다.모바일 결제가 지닌 위험성에 대한 경계의 목소리도 크다. 온라인 금융 서비스 확대에 따른 불법 대출 등 사기 행위가 연이어 터지는 데 반해 책임 소재가 불분명해 관리 당국의 역할이 막중하다는 것이다. 봉황망은 '현금 없는 사회'의 가장 큰 장점은 편리성이지만 휴대폰 분실이나 해킹 등으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과 과소비 조장 등 다양한 부작용이 불거지고 있다고 우려했다.베이징 김혜원 특파원 kimhy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베이징 김혜원 특파원 kimhy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