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직장인, 자영업자보다 노후준비 부실

[아시아경제 임철영 기자]직장인의 가장 큰 걱정 중 하나는 ‘노후 불안’이지만 정작 노후 준비 수준은 자영업자보다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는 내달 1일 근로자의 날을 맞아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직장인에 대한 다양한 분석결과 발표했다.우리나라 직장인은 자녀교육(16.4%)이나 주택문제(15.9%)보다도 노후불안(34.9%)을 가장 많이 걱정하고 있었다. 실제로 직장인의 34.6%는 노후준비를 안하고 있었고, 노후를 위해 저축하는 금액도 월 평균 27만원에 불과했다.노후 필요자금 대비 준비된 자금의 수준을 의미하는 ‘노후 준비 지수’도 70%에 머물렀다. 이는 자영업자의 준비 지수 74%보다도 낮은 것이어서 우리나라 직장인의 노후 준비 수준이 전반적으로 자영업자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필요노후자산 대비 부족 금액도 직장인은 평균 2.5억원이나 됐고 준비된 노후자금으로 생활할 수 있는 기간을 의미하는 경제수명은 83세에 불과했다. 반면 자영업자의 부족금액은 1.9억원이었고, 경제수명은 87세로 나타나 직장인에 비해서는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그러나 직장인의 노후준비 수준을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은 ‘자산관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자산관리를 하고 있는 직장인과 하고 있지 않은 직장인의 자산은 각각 2.3억원과 1.5억원으로 나타나, 자산관리를 하고 있는 직장인의 자산이 8000만원 더 많았다. 자산관리를 하고 있는 직장인은 그렇지 않은 직장인보다 부채도 적었고, 생활비는 적게 쓰는 반면 저축액은 2배나 더 많아 전반적으로 계획적인 경제생활을 하고 있었다.고졸 이하의 직장인이더라도 자산관리를 하는 직장인의 자산과 4년제 대학을 졸업했지만 자산관리를 안하는 직장인의 자산은 1.7억원으로 동일해, 자산관리를 통해서 학력차이에서 발생하는 자산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음을 보여주기도 했다.100세시대연구소 이윤학 소장은 “많은 직장인에 있어 노후준비가 여전히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하며 “소득과 학력 등에 따라 준비수준이 천차만별이지만, 의지를 가지고 자산관리를 한다면 그 차이는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