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硏, 올 성장률 전망 3.0→2.6%로 내려

[아시아경제 정현진 기자] 한국금융연구원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0%에서 2.6%로 하향조정했다. 내수 정체와 수출 부진으로 인해 당초 예상보다 성장이 더딜 것으로 내다봤다.금융연구원은 14일 '수정경제전망' 보고서를 통해 정책 효과가 종료돼 내수가 정체되고 수출 부진이 지속될 것이라며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6%로 제시했다.금융연구원은 지난해 10월 올해 경제성장률을 3.0%로 제시한 바 있다. 한국은행도 지난 1월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금융연구원과 동일하게 발표했다.하지만 지난해 4분기와 올해 1분기 실적과 경기 흐름을 감안할 때 전망치를 이전에 비해 0.4%포인트 낮추게 됐다.금융연구원은 "소비는 연말로 갈수록 정책 효과가 사라져 성장률이 점차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설비투자의 경우 저조한 수출 증가율이 지속됨에 따라 전년보다 낮은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상반기 경제성장률은 2.9%, 하반기는 2.2%로 예상했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MERS) 사태로 인한 기저효과와 내수 부양책 효과로 하반기에 비해 상반기 경제성장률이 더욱 높을 것으로 예측됐다.민간소비 증가율은 1.8%로 전년보다 낮을 것으로 내다봤다. 민간소비 증가에 큰 역할을 담당했던 개별소비세 인하가 올해 중 종료되면서 연말로 갈수록 소비가 줄어들 것이란 설명이다. 설비투자 역시 내수 및 수출 정체로 수요가 줄어들면서 4.2% 늘어나는 데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세계 경제 회복이 더뎌지면서 수출 부진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총수출 증가율은 상반기 0.6%, 하반기 0.3%로 2015년과 동일한 0.4%(연간)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반면 건설투자는 주거용 주택건설을 중심으로 4.0%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2014~2015년 건설수주 및 건축허가 증가세가 올해 건설투자 증가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다.금융연구원은 "올해 성장률이 지난해 성장률에 미치지 못할 경우 경제주체들의 심리가 비관적으로 치우칠 우려가 있다"며 "재정 및 통화정책 수단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외 여건 악화 등으로 우리 경제에 상당한 충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선제적인 기준금리 인하로 대응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고 덧붙였다.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