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교과 사교육비 줄고 예체능 증가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사교육비 증가[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경기 침체 속에서도 초·중·고 학생 1인당 사교육비가 3년 연속 증가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영어를 비롯한 일반 교과목의 사교육비는 소폭 줄어든 반면, 체육과 미술 등 예체능 사교육비는 급증하고 있다. 26일 교육부와 통계청이 지난해 전국의 사교육비를 조사한 결과, 1인당 월평균 명목 사교육비는 2014년보다 2000원(1.0%) 증가한 24만4000원으로 집계됐다. 실제 사교육을 받은 학생만을 기준으로 한 1인당 사교육비는 전년대비 3000원(0.7%) 증가한 35만5000원이었다.이번 발표는 2015년 6월과 10월 2차례에 걸쳐 전국 초·중·고 1244곳 학부모 4만3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분석했다. ◆1인당 평균 사교육비 3년 연속 증가=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정부가 2007년 통계를 내기 시작한 이후 2009년 24만2000원으로 정점을 찍은 뒤 4년간 감소하다 지난 2013년과 2014년 3000원씩 늘었고, 올해 또다시 2000원 증가했다.다만 작년 3/4분기 통계청의 가구당 월평균 가처분소득(358만2000원)을 고려하면 초·중·고생 자녀 1명을 둔 가구의 경우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6.8%로 2009년 8.6% 이후 계속 감소하고 있다.신익현 교육부 학교정책관은 "명목 사교육비는 전년대비 소폭 증가했지만 사교육 관련 물가 상승을 감안한 1인당 실질 사교육비는 20만4000원으로 전년대비 3000원(1.5%) 줄었다"고 설명했다. 실질 사교육비 산정 기준은 소비자 물가지수(전년대비 0.7% 증가)가 아닌 사교육 관련 물가지수(2.6%)를 적용한 것이다.중산층과 고소득층간 사교육 양극화 현상은 여전했다. 지난해 월평균 소득 300만원 이상~400만원 미만인 가구의 사교육비가 전년대비 소폭(0.2%) 증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소득구간대에서 사교육비는 감소했다. 하지만 월소득 700만원 이상인 최상위층 가구의 월평균 사교육비는 42만원, 월소득 100만원 미만인 최하위 가구의 사교육비는 6만6000원으로 격차는 6.4배나 벌어졌다.시도별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서울이 33만8000원, 경기 26만5000원, 대전 25만4000원 순으로 높았다. 특히 전체 사교육비 가운데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역의 월평균 사교육비는 각각 33만8000원, 21만3000원, 26만5000원으로 최근 3년간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증가율이 전국 평균치인 2.1%를 상회하는 수준이었다.◆초등학생, 영어 대신 체육학원= 1인당 월 사교육비는 중학교가 27만5000원, 고등학교 23만6000원으로 각각 전년대비 1.9%와 2.9% 증가한 반면, 초등학교는 0.4% 감소한 23만1000원이었다. 사교육 수요는 기존 교과 중심에서 특기적성을 고려한 예체능 분야로 이동하고 있었다. 일반 교과목의 사교육비는 월평균 19만원으로 전년대비 0.3% 줄어든 반면 예체능 사교육비는 5만3000원으로 5.4% 증가했다. 과목별로는 국어와 영어 사교육비가 각각 1.0%와 2.1% 감소하고 수학은 전년 수준을 유지했으며, 미술과 체육은 3.0%와 13.6% 급증했다.특히 초등학생의 경우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가 23만1000원으로 전년대비 0.4% 감소한 가운데 영어 사교육비는 7만원으로 전년대비 7.3% 줄어든 반면 체육 사교육비는 3만6000원으로 10.4% 급증했다. 체육 과목의 사교육 참여율도 2012년 27.4%에서 지난해 35.3%로 급증해 초등학생 3명 중 1명은 학원에서 체육 수업을 받고 있는 셈이었다.자유학기제가 전체 중학교의 80%로 확대 적용된 중학교 1학년의 경우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전년대비 2000원(0.7%) 감소했는데, 영어와 수학 등 일반교과의 사교육비가 7000원(2.9%) 줄었고, 사교육 참여율 또한 70.9%로 전년대비 0.3%p 감소했다.◆방과후학교 수강이 사교육비 경감 효과= 지난해 방과후학교의 참여율은 초등학교가 60.2% 중학교 40.8%, 고등학교 67.2%로 전년대비 각각 0.7%p와 4.5%p, 2.9%p 감소했다. 방과후학교 활성화가 사교육비 증감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친다는 게 교육부의 설명인데, 방과후학교 참여율이 떨어진 중·고등학교에서 사교육비가 증가했다는 점을 그 근거로 들었다.공교육정상화법 시행 이후 중·고등학교 방과후학교에서 선행학습이 금지되자 43.4%가 교과 프로그램 수강을 중단하거나 변경했고, 이 가운데 72% 이상이 학원이나 유료 인터넷 강의, 학습지 등 사교육으로 전환한 것으로 분석됐다. 신 정책관은 "사교육비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 방안은 공교육 정상화"라면서 "현재의 대입 제도의 기조를 유지하면서 자유학기제, 진로교육 등이 학교 현장에 성공적으로 정착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육부는 이번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현재 추진중인 사교육비 경감 정책을 보완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초등 돌봄교실에서 예체능 특기적성 프로그램을 무상으로 제공하고, 중등에서는 '학교체육, 예술교육 지원사업' 등을 통해 학교에서 다양한 예술, 체육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 물가상승률이 높은 학원비 인상을 억제하기 위해 각 시도교육청,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학원 지도·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다.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