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정현진 기자] 제조업과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하는 4차 산업혁명이 이뤄지면 일자리 500만개가 줄어들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30일 문병준, 김경빈 국제금융센터 연구위원의 '4차 산업혁명과 고용의 미래' 보고서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으로 향후 5년간 과학기술 분야의 고용은 2% 증가하지만 노동력 대체 기술이 나와 전체 일자리(15개 선진국 기준)는 500만개 줄어들 것으로 추정된다. 4차 산업혁명은 제조업에 인터넷이나 클라우드, 인공지능과 같은 최신 기술을 조합해 제조업 변화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것이다. 지난 20~23일 열린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에서는 4차 산업혁명을 주제로 여러 토의가 진행됐다.
다보스포럼의 미래 일자리 통계에 따르면 2020년까지 가장 일자리가 많이 줄어든 분야는 사무·행정으로 일자리 4.9%가 줄어든다. 제조업 분야에서도 1.6%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컴퓨터 및 수학(3.2%)과 건축공학(2.7%) 분야는 일자리가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이 '자동화 기술' 개발인 만큼 저숙련 직업 뿐 아니라 중간기술 직업으로 자동화 시스템이 확산되면 전통적 화이트칼라 일자리 감소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분석한 것이다. 국가별로도 4차 산업혁명의 영향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진국은 구조적 변화에 비교적 유연한 만큼 경제적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신흥국은 저임금 노동력에 경쟁력이 집중돼 있는 만큼 자동화 기술로 대체돼 일자리를 잃는 일이 많을 것으로 봤다.우리나라는 이같은 4차 산업혁명에 준비가 다소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WEF글로벌경쟁력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4차 산업혁명 준비도평가에서 교육시스템(19위), SOC(20위), 직업기술(23위)등으로 양호한 결과를 받았지만 노동시장 유연성(83위)과 법적 보호(62위)는 다소 낮은 순위를 기록했다.김 연구위원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산업구조 및 고용시장 변화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며 "과학기술 분야 및 고숙련 일자리 수요충족을 위해 단기적으로는 새로운 산업수요에 적합한 기존 인력의 재교육을 지원하고, 중장기적으로 교육시스템의 유연성 개선 및 산-학간 협조를 통한 인력양성 등의 정책 마련해야한다"고 말했다.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