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 치료’ 범위 명시 없어 암입원비ㆍ수술비 분쟁 초래 [아시아경제 최서연 기자] 통계청의 2014년 사망원인 통계결과에 따르면 암으로 인한 사망이 인구 10만명 당 150.9명으로 매우 높고 그 수도 해마다 증가하며 치료비 보장을 위해 암보험에 가입하는 소비자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보험사 암보험 약관 지급기준표상 ‘암의 직접적인 치료 목적’의 범위가 불명확해 보험금 지급과 관련한 분쟁은 줄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1일 한국소비자원은 2012년 1월부터 2015년 9월까지 암 보험 관련 소비자피해 225건을 피해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보험금 지급거절 또는 과소지급 등 ‘암 보험금 지급’ 관련 피해가 92.5%(208건)로 대부분을 차지했다고 밝혔다또한, 암 보장 급부별로는 암 입원비 관련 피해가 43.1%(97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 암 진단비 37.3%(84건), 암 수술비 10.2%(23건) 등의 순으로 나타나, 암 치료목적의 암 입원비, 암 수술비 분쟁이 절반 이상인 53.3%로 확인됐다. 그러나 보험사의 소비자 요구 수용률(합의율)은 생명보험이 30.0%로 가장 낮았고, 손해보험 35.7%, 공제 44.4% 등 전체 수용률은 31.8%로 낮은 편이었다.한편, 암 종류별로는 유방암 관련 피해가 30.2%(68건)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대장암 14.2%(32건), 갑상선암 13.3%(30건), 위암 8.9%(20건) 등의 순이었다.암 입원비 및 암 수술비 지급 관련 분쟁이 지속되는 주된 이유는 보험사 암보험 약관 지급기준표의 ‘암의 직접적인 치료 목적’이라는 불명확한 표시 때문이다. 보험사는 ‘직접적인 치료 목적’을 자의적으로 좁게 해석해 일부의 경우에만 보험금을 지급하려는 경향이 있는 반면, 소비자는 암 때문에 입원(수술)하는 모든 경우에 해당 보험금 지급을 요구하기 때문에 분쟁이 줄지 않고 있다. 또한, 보험사별로 동 약관의 해석기준이 제각각 달라 소비자는 보험금을 못 받거나 적게 받는 피해를 입게 된다. 해당 암보험 약관(암의 직접적인 치료 목적)은 보험사가 자의적으로 해석할 여지가 많고, 보험금 분쟁을 계속적으로 유발하므로 빠른 개선이 필요하다.한국소비자원은 “암 보험 약관을 개정해 암 수술비, 암 입원비 지급 조건인 ‘암의 직접적인 치료 목적’의 범위를 종양을 제거하기 위한 수술이나 방사선치료, 항암약물치료 등 종양의 증식 억제 또는 재발 방지를 위한 치료뿐만 아니라 말기암 환자 치료, 합병증 치료목적이라도 수술하지 않으면 생명유지가 불가능한 경우 등을 포함할 것과 암보험 표준약관을 신설할 것 등을 금융당국에 건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최서연 기자 christine89@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최서연 기자 christine89@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