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소비 줄어 새로운 수요처 발굴 검토연말까지 중장기 쌀 수급안정 대책 마련
지난 23일 봉산면 삼지리 김덕수(63세) 농가의 햅쌀단지 2ha을 시작으로 오는 31일까지 ‘대숲맑은 조기 햅쌀 단지’ 57농가 58ha에 대해 본격적인 수확에 들어갔다. 사진=담양군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쌀을 사료화하는 길이 열릴까'쌀 소비가 줄면서 창고에 쌓이는 쌀이 급격히 늘고 있다. 공급 과잉 현상이 나타나면서 쌀 가격은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정부는 일정 물량을 매입하거나 한시적 시장격리 조치로 쌀 값을 안정시키고 있지만, 해마다 이 같은 문제가 반복되고 있다.정부는 가공용 쌀 소비를 촉진하는 한편 복지용 쌀 공급을 확대한다는 재고관리대책을 추진키로 했다. 특히 사료용이나 화장품원료 등 신규 수요처를 창출하기 위한 방안도 검토에 착수했다.정부는 올해 쌀 생산량을 426만t으로 추정하고 있다. 지난해 424만t보다 2만t(0.4%) 증가한 규모다. 벼 재배면적이 81만6000ha에서 79만9000ha로 2.0% 줄었지만 면적당 생산량이 전년대비 2.5% 증가했기 때문이다.이에 15일 기준 산지 쌀값은 80㎏당 15만6880원으로 평년 동기 대비 7.2%, 전년 동기 대비 7.5% 각각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밥쌀용 쌀 소비량은 2011년 71.2㎏, 2012년 69.8㎏, 2013년 67.2㎏, 2014년 65.1㎏으로 지속적으로 줄고 있다.결국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과잉예상물량 가운데 20만t을 정부가 시장격리하는 등 공공비축미 36만t, 해외공여용(APTERR) 쌀 3만t 등 59만t을 매입하기로 결정했다. 미곡종합처리장(RPC)과 벼건조저장시설(DSC)에도 벼 매입자금을 각각 1000억원씩 지원한다.하지만 정부의 쌀 재고가 작년 83만8000t에서 9월말 기준 136만t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어 매입에 따른 재정 부담이 심각한 수준에 달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쌀 가격 안정을 위해 재원을 들여 매입하는 대신 새로운 소비 시장을 창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경기미의 산지 쌀 가격 추이
이에 농식품부는 최근 사료나 화장품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등 쌀 신수요 개발에 대한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쌀 소비 감소와 구조적 과잉공급에 따른 정부양곡 재고 증가로 경제, 사회, 정치적 비용이 소요되고 있어 기존 밥쌀이나 가공용을 제외한 수요처를 개발해 근본적인 해법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료나 주정, 화장품, 소재 등에 대한 해외사례와 국내 실현 가능성, 비용 등을 조사하겠다는 취지다.현재 농업계는 정부 재고 쌀을 사료화하는 것에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지만, 실현가능성은 장담할 수 없다. 사료용으로 쓰이는 옥수수 등에 비해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가축별 사료 수요 등에 대한 조사도 선행 되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특히 끼니조차 해결하지 못하는 빈곤층이 존재하는데 쌀을 가축용 사료로 만드는 것에 대한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인식도 쌀 사료화를 가로 막고 있다.농식품부 관계자는 "일본은 벼 상태로, 곡물로 벼를 사료로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쌀 사료화는 국민 여론을 반영해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