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증시가 요동치며 세계 금융시장을 흔들고 있다. 기술 중심 나스닥시장에서 거품 경고가 나올 정도인 미국의 경제 회복세를 희석시킬 만큼 파급력이 크다. 자원 수출 신흥국에서는 통화 약세가 가속화하고 있다. 중국 증시의 반등세를 이끌 만한 뚜렷한 요인이 없어 추가 급락과 후폭풍이 가져올 충격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는 경고가 나온다. 중국 증시는 내리 이틀 급락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지난 27일 8.48% 곤두박질친 데 이어 28일에도 1.68% 떨어졌다. 어제도 상하이지수는 장중 한때 5% 이상 급락했다가 중국 정부가 증시 부양 의지를 보이자 겨우 낙폭이 줄었을 뿐이었다. 지난해 7월 2000대였던 상하이종합지수는 올 들어 6월12일에 5166.35로 최고점을 기록했지만 이후 한 달여 동안 투자심리가 얼어붙으며 30% 이상 추락했다. 중국 증시 급락의 원인은 복합적이다. 우선 1년 만에 주가지수가 2.5배로 뛰는 비정상적인 폭발 장세를 보였던 만큼 큰 폭의 조정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기업부채를 해소하고 경기를 살리기 위해 중국 당국이 선택한 증시 띄우기 정책이 후유증을 불러온 것이다. 여기에 제조업 순이익 하락 등 기업실적 악화, 대주주 주식매도와 공매도 금지 등 중국 정부의 과도한 시장 개입, 당국의 통계조작설 등이 투자자들의 불신을 키워 투매를 초래했다. 문제는 중국 증시 불안이 이번 주가 폭락 사태로 끝나지 않았다는 점이다. 앞으로도 계속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실물 경제도 더욱더 위축될 수 있다는 전망이 점점 힘을 얻고 있다. 중국 정부는 부동산ㆍ주가의 동시 폭락이 중산층의 불만 폭발과 정국 불안으로 이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부양책을 또 쓸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펀더멘털이 받쳐주지 못하는 땜질 처방만으로는 부양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28~29일(현지시간) 양일간 열리는 미국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오는 9월 금리 인상 예고가 나올지도 주목해야 한다. 수출의 25% 이상을 중국에 의존하는 우리나라도 경각심을 갖고 면밀한 대책을 세워 실행에 옮겨야 한다. 지난해 11월 상하이와 홍콩 증시 교차 거래를 허용하는 후강퉁 실시 이후 국내 투자자들의 중국 주식 직접 거래 규모는 10조원을 넘어섰다. 중국 증시 폭락이 국내로 전염될 위험이 크다는 뜻이다. 정부와 기업은 금융과 수출 등 경제 전반에 미칠 영향을 세밀히 분석하고 대처방안을 점검해 만일의 사태에 철저히 대비하길 바란다. 시장 전문가들도 중국시장에 대한 예측력을 높여 뜻밖의 투자 손실을 막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