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수출입은행, 대우조선 사태 책임진다

[아시아경제 이은정 기자] 대우조선해양의 대규모 부실사태와 관련 주채권은행인 KDB산업은행과 최다 여신 제공은행인 수출입은행이 책임을 지고 지원하기로 방침을 잡았다. 산업은행은 대우조선 지분 31.46%를 보유한 최대주주이고, 수출입은행은 금융권에서 가장 많은 8조3000억원의 여신을 제공한 최대 채권기관이다.19일 금융권에 따르면 채권단은 현 단계에선 대우조선 문제의 해법을 함께 논의할 계획을 세우지 않고 있다. 대우조선의 경영실태를 정밀 심사한 후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순서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실사 일정은 20일쯤 잡힐 예정이다. 단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2∼3개월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실사 기간 대우조선의 위험 요소를 주도적으로 관리할 방침이다. 다른 채권금융기관들은 자금 회수를 늦춰주는 정도의 지원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대우조선은 오는 23일 2000억원, 11월30일까지 3000억원의 회사채를 갚아야 한다. 채권단은 대우조선이 현재 6000억여원의 유동성을 확보한 상태여서 두 차례의 회사채 만기를 넘기는 데는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만약 이 과정에서 긴급 유동성이 필요한 상황이 닥치면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지원군 역할을 맡게 된다. 두 은행은 대우조선의 선수금환급보증(RG)도 책임질 방침이다. 대우조선은 지난달 초 세계 최대 해운사인 덴마크 머스크라인이 발주한 초대형 컨테이너선 11척을 18억 달러(약 2조원)에 수주했으나 RG 문제를 아직 해결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또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단기적으로 대우조선의 유동성을 관리하면서 중·장기적으로는 부실을 털어낼 계획이다. 일정이 다소 길어지더라도 해외 사업장으로 실사를 확대해 진행하기로 한 것은 그래서다.이은정 기자 mybang21@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이은정 기자 mybang2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