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앤비전]대일관계 임계치를 넘으면 안된다

위정현 중앙대 경영학 교수

일본 유학 시절 나는 난생처음으로 검도라는 것을 배웠다. 도쿄대에는 유서 깊은 '시치도쿠도(七德堂)'라는 이름의 검도장이 있다. 유학 가자마자 무작정 찾아가 검도를 배우겠다고 했다. 일본학생들은 많이 놀랐던 것 같다. 나중에 첫 외국인 회원을 인정할 것인가를 놓고 논란을 벌였다고 이야기해 주었다. 그도 그럴 것이 나는 태어나 한번도 '시나이(죽도)'를 잡아 본 적도 없는 생초짜였고 그들은 나와 띠동갑 후배 정도로 한참 어린 학부생이었으니 부담스러웠을 것이다.  이들과 함께 여름이면 땀을 뻘뻘 흘리며 죽도를 휘둘러댔다. 이들과 지내면서 배운 것이 몇 가지 있었다. 하나는 '조금 할 줄 안다'라는 일본어가 사실은 지극히 조심해야 할 말이라는 것이다.  신입부원으로 인사를 한 후 친해지게 된 후 검도 실력이 얼마나 되는가를 물으면 이들은 이구동성으로 '약간 할 줄 압니다'라고 답했다. 나는 그 말을 한국식으로 이해해 '배운 지 얼마 안 된 초짜구나'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나중에 알고 보니 조금 한다는 학생이 검도 3단, 아니 심지어 6단짜리도 있었다.  또 하나 배운 중요한 교훈이 있다. 어느 무더운 여름날이었다. 이날도 부원들과 함께 상대의 머리를 내려치는 훈련을 하고 있었는데 내 죽도가 갈라져 상대 학생의 얼굴에 박히는 대사건이 생겼다.  대나무는 횡으로 결이 갈라지기 때문에 위험하다. 갈라진 나무결이 머리에 쓴 호구를 뚫고 들어가면 심한 경우 눈이 다쳐 실명할 수도 있다. 분명 연습 전에 죽도를 확인했을 때는 문제가 없었기에 당황했다. 다행히 눈은 피했지만 분명 내 과실이었기 때문에 그 신입생 후배에게 진심으로 사과하고 내 자리로 돌아왔다.  그런데 평소 나와 껄끄럽던 3학년 '선배'가 화난 표정으로 다가왔다. 싸운 적도 없었지만 친하지도 않는, 그러나 우호적이지도 않은 그는 왜 죽도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았냐고 따지고 들었다. 이미 해당 학생에게 진심으로 사과한 후였기에 새삼스럽게 건수 잡았다고 덤비는 그 선배가 불쾌했다. 내가 이미 사과했다고 말하고 자리를 피해버리자 그는 선배로서 체면을 구겼다고 생각했는지 흥분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마침내는 '고노야로(이 놈이)'라고 외치고는 주먹으로 내 가슴을 쳤다. 호구를 입고 있었기 때문에 툭 치는 정도였지만 나는 그냥 넘어가지 않았다. 주먹으로 힘껏 상대의 얼굴을 때려 주었고 그 선배는 50명이 넘는 부원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벌렁 나자빠지고 말았다. 놀란 주장(캡틴)이 와서 내 팔을 잡고 나지막하게 말했다. '연장자로서 참으셔야지요. 폭력은 곤란합니다.' 어쨌든 주변 사람들이 뜯어말려 싸움으로 번지지는 않았지만 여기서 또 하나 배운 교훈이 있었다. 일본인과 한 번 싸우면 평생 원수가 된다는 것이다. 주장을 비롯한 부원들의 권유에 의해 내가 먼저 손을 내밀고 화해의 악수를 했지만 그 선배는 졸업하는 날까지 나와 얼굴을 마주하려 하지 않았다. 한국인의 경우 아무리 심하게 싸워도 술 한잔 하고 나면 다시 친구가 되지만 일본인은 한 번 관계가 깨지면 죽을 때까지 회복되지 않는다.  지금의 한일 갈등이 임계치를 넘고 있다. 과거의 혐한(嫌韓)이 일본의 일부 우익 세력에 국한되었다면 지금은 일반국민에게까지 번지고 있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일본 최대 서점인 키이노구니야의 입구에는 혐한서적 코너가 널찍하게 자리 잡고 있다. 1995년 일본 유학 이래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광경이다.  도쿄대 검도부 선배와의 싸움에서 검도부원 누구도 나의 정당방위를 부인하지 않았다. 또 싸움 후에 내가 그 선배에게 악수를 청해 화해를 하는 듯이 보였지만 20년 가까운 세월이 지난 지금까지도 관계는 회복되지 않고 있다. 일본과의 관계도 더 늦으면 회복불능이 될지 모른다. 잠 못 이루는 밤이다. 위정현 중앙대 경영학 교수<ⓒ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