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새 국가 몫 55.6%→31.5%..기업 역할 41.1%→68.5%"금융역량 키워 노후소득보장 수준차이 줄여야"[아시아경제 서지명 기자] 개인의 은퇴소득에 있어 공적연금 등을 통해 국가가 담당하는 몫이 점점 줄어들고, 기업과 개인이 준비하는 비중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현자 서울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20일 서울 청담동 리베라호텔에서 열린 한국재무설계러닝센터 론칭기념식에 참석해 '한국가계의 은퇴준비와 재무교육'이라는 주제의 발표에서 "은퇴를 대비하는데 있어 개인의 역할이 점점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발표에 따르면 은퇴소득의 구성에 있어 국가(공적연금)가 담당하는 부분이 지난 2010년 55.7%에서 2012년 35.9%, 2014년 31.5% 등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반면 기업(퇴직연금)이 담당하는 몫은 같은 기간 3.2%에서 6.2%, 7.8% 등으로 늘었고 개인(개인연금+저축)의 역할은 41.1%에서 57.9%, 60.7% 등으로 급증했다. 최 교수는 "금융교육이나 상담 등을 통해 금융소비자의 금융역량(financial capability)을 증진시켜야 한다"며 "개인 스스로 역량 키워 노후소득보장 수준 차이의 심화를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앞으로 퇴직연금이 노후소득에서 담당하는 역할이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퇴직연금의 기간별 금융권역간 수익률을 살펴보면 최근 7년 4.8%p, 최근 5년 2.8%p, 최근 3년 1.2%p, 최근 1년 0.7%p 등으로 집계됐다. 기간별 최저수익률과 최고수익률간의 차이는 최근 7년 9.4%p, 최근 5년 7.5%p, 최근 3년 4%p, 최근 1년 3.6%p 등으로 조사됐다. 최 교수는 "금융권역간, 개별 금융기관간 수익률 차이는 투자기간이 길어질수록 더욱 커진다"며 "퇴직연금은 1~2년이 아니라 적어도 10년 이상의 장기투자가 필요한데 장기적으로 봤을 때 작은 수익률 차이가 크다"고 설명했다. 그는 "기업이 직원들의 재무적건강 상태를 증진시켜주는 것도 필요하다"며 "직장이 개인의 재무적인 건강을 위해 동반자로 노력해주면 충성도도 높아지고 성과도 커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현자 서울대 소비자학과 교수가 20일 서울 청담동 리베라호텔에서 열린 한국재무설계러닝센터 런칭 기념식에 참석해 '한국가계의 은퇴준비와 재무교육'이라는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서지명 기자 sjm0705@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미래디자인연구소 서지명 기자 sjm0705@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