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25회째 맞는 '장애인의 날'이다. '장애인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깊게 하고 장애인의 재활 의욕을 높이기 위해' 제정된 장애인의 날에 되돌아보는 우리나라 장애인의 현실은 우리 사회와 정부에 많은 과제를 제기하고 있다. 장애가 있는 자녀는 집안에 숨기기만 했던 때에 비하면 나아졌다고도 할 수 있지만 양극화, 고령화 등 최근의 사회변화 속에서 장애인들의 삶은 더 고단해지고 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어제 발표한 '2014 장애인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장애인의 78%가 만성질환을 앓고 있었다. 비장애인(35%)의 배가 넘는 수치다. 장애인 1인당 만성질환도 평균 1.8개로 비장애인에 비해 3배 이상 많았다. 장애인 가구의 월 평균 소득은 223만5000원으로 전국 가구 평균 415만2000원의 절반에 불과했다. 장애인 1인 가구 비율은 24.3%로 10년 전보다 두 배가량이나 늘었다. 이는 장애인 10명 중 4명 이상이 65세 이상 노인인 것으로 조사됐듯 인구 고령화가 가속화하면서 노인 장애인도 크게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경제난, 고령화와 겹치면서 장애인의 삶의 조건이 더욱 열악해지고 있는 것이다. 장애인 문제는 지금 장애인인 이들에게만 해당되는 것일까? 결코 그렇지 않다. 같은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책무를 생각해도 그렇지만 누구도 장애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어제 발표에서 우리나라 전체 장애인은 273만명으로 추산됐다. 그러나 실제 장애인은 이보다 훨씬 더 많다는 것이 장애단체 등의 추정이다. 장애인을 가족으로 둔 사람들을 고려해도 장애인의 몇 배나 되는 사람들이 장애 관련 인구다.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는 것과 달리 장애는 선천성보다는 후천성이 압도적으로 더 많다. 장애인들 중 89%가 후천적 원인에 의한 장애인들이다. 누구든지 살아가면서 장애인이 될 수 있다. 장애인 문제는 곧 '비장애인'의 문제이기도 한 것이다. 복지정책의 역사에서 확인된 하나의 금언은 "그 사회의 가장 약한 이들의 삶의 질을 높일 때 전체 삶의 질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우리 사회 전체의 삶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그들의 삶의 조건을 개선해야 한다는 다짐을 장애인의 날에 다시금 확인한다.<ⓒ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