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동선 기자]#1. 2009년 7월 분산서비스거부공격(DDos)으로 청와대와 백악관 등 한국과 미국의 47개 기관 홈페이지 마비와 PC 1488대 파괴.#2. 2011년 3월 청와대, 네이버 등 총 40대 사이트 DDOS 공격, PC 820대 하드디스크 파괴.#3. 2011년 4월 농협 전산망 침투 금융서버 273대 자료 삭제 및 20여일간 금융업무 장애 유발.#5. 2012년 6월 중앙일보 홈페이지 변조, 신문제작 서버 등 74대 서버 파괴.#6. 2013년 3월 KBS, MBC, YTN 등 언론사와 농협, 신한 등 금융사에 악성코드 유포, 전산장비 4만8000여대 파괴.#7. 2013년 6월 방송사, 신문사, 청와대 등 68개 기관과 업체 서버 파괴 및 DDos 공격#8. 2014년 말 자료 파괴형 악성코드 유포로 고리·월성 원자력발전소 PC 5대 파괴#9. 2014년 12월 소니 해킹 내부전산망 다운과 영화 유출로 1000억대 손실 발생2009년부터 본격화된 북한의 사이버 테러 사례들이다. 북한은 이처럼 국내외 정부기관·금융기관·언론사는 물론 민간기업 등을 망라한 사이버 공격으로 사회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북한은 세계 6위의 사이버 공격 능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최근 더욱 강력한 사이버 테러를 자행하는 이른바 '사이버 전사(戰士)'는 북한 최고지도자인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직접 지시에 의해 육성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국가정보원 산하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은 31일 오후 열릴 예정인 '북한 사이버 테러 위협과 대응 전략' 학술회의에 앞서 배포한 자료에서 "북한이 첨단 사이버전 역량을 빠르게 발전시키기 시작했다는 우려가 분석가들과 정부 관계자들 사이에서 점차 커지고 있으며 이러한 북한의 사이버 역량의 확대는 아시아에서 사이버전이 발발할 가능성이 그 어느때 보다 높아졌음을 시사한다"며 이같이 밝혔다.연구원에 따르면 북한은 인민군과 노동당 산하에 7개 조직 1700명 규모의 전문 해커를 보유하고 있으며, 프로그램 개발 등을 지원하는 13개 조직 4200명의 인력을 갖추고 있다. 또 북한은 '공격전용 네트워크'를 인터넷에서 분리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북한의 사이버전에 대한 의지는 러시아에 이어 중국·미국과 같은 2위이며, 공격 능력은 6위, 사이버정보 평가능력은 7위로 평가되고 있다.이같은 사이버 테러 조직은 북한 최고지도자의 직접 지시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원에 따르면, '핵, 미사일과 함께 전쟁을 위한 3대 수단으로 사이버공격'을 꼽은 김정은은 사이버공간의 이점을 활용해 적극적인 활동을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김정은은 2013년 8월 군 간부들에게 "사이버 공격은 핵, 미사일과 함께 우리 군의 만능의 보검"이라며 사이버 공격 능력 강화를 주문했고, 2014년에는 정찰총국 산하 121국을 방문해 "적들의 사이버 거점을 일순간에 장악하고 무력화할 준비를 갖추라"고 지시했다. 이 지시에 따라 인민군과 노동당 사하 기관들은 '사이버 충성경쟁'에 돌입해 경쟁적으로 사이버 조직을 만들고 사이버 전사들을 확충하는 데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도 "남한내 인터넷을 적극 활용하라"며 "사이버공격은 원자탄이고 인터넷은 총알"이라며 사이버공격의 중요성을 언급한 바 있다.김인중 국가안보기술연구소 창의혁신부장은 "북한 최고지도자가 사이버공간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군사전략적 목적, 외화벌이, 사이버심리전이 가능한 공간이어서 목적에 따라 군사적, 경제적 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김동선 기자 matthew@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동선 기자 matthew@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