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명진규 기자] 삼성전자가 기본연봉동결 공지 후 이례적으로 10여일 만에 이례적으로 실질임금은 상승한다는 부연 설명성 입장을 내놨다. 삼성발(發) 임금동결이 실질 임금 동결로 잘못 알려진 데다 재계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면서 소비심리를 위축시켜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으로 해석된다. 특히 이 같은 조치가 정부의 임금인상으로 인한 내수확대 정책과 대립각으로 비칠 수 있다는 점도 부담이다. 삼성그룹은 9일 삼성전자와 그룹 계열사들이 기본임금 인상률은 동결했으나 호봉승급분과 성과인상률 등은 그대로 유지돼 실질임금은 상승한다고 밝혔다. 삼성그룹 설명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임금인상은 기본급인상분에 호봉승급분(비 연봉제 직원) 또는 성과인상률(연봉제 직원)을 더해 이루어진다. 이번에 기본급 인상분은 동결했지만 호봉승급분과 성과인상률은 유지돼 삼성전자 전 사원의 올해 평균 임금은 2.3% 상승한다. 통상임금 판결에 따라 정기상여가 통상임금에 포함되고 전년의 잔업, 특근수당 인상 효과가 평균 1.9% 수준에 달해 삼성전자의 실질 임금상승률은 4.2% 에 이른다.삼성이 이례적으로 임금과 관련돼 부연 설명을 하고 나선 것은 최근 정부와 정치권이 기업에 임금인상을 촉구하는 분위기와 무관치 않다. 지난달 26일 삼성전자를 시작으로 삼성전기,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S 등이 임금을 잇달아 동결하자 삼성그룹의 도미노 임금동결에 이목이 집중돼 왔다. 삼성전자의 임금동결 이후 정부와 새누리당이 최저임금의 대폭적 인상을 추진하고 경총이 대기업은 물론 최저임금 인상에도 사실상 반대하면서 임금인상을 둘러싼 노사정 대립각이 심화될 조짐을 모습을 보여 왔다. 재계 관계자는 "삼성그룹으로서는 한국경제와 재계에 미치는 영향력과 상징성을 감안, 삼성그룹발 임금동결 확산이 자칫 가계소득을 위축시켜 내수부진과 경제전반의 활력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 등을 다각적으로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실적부진을 겪은 정유업계가 이미 임금을 동결한 데서 보듯 정부의 무리한 임금인상요구가 오히려 기업활동을 위축시킬 수도 있다"고 말했다. 명진규 기자 aeon@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명진규 기자 ae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