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변명록'이 돼버린 '회고록''

이규성 사회문화부 선임기자

[아시아경제 이규성 기자]1954년 앨프리드 P.슬론2세는 '나의 GM시절'라는 회고록을 완성하고도 출간하기까지 10년을 기다린다. 그 10년은 책에서 논란이 된 인물들이 죽거나 현직에서 물러나기를 기다린 시간이다. '경영자는 공개적으로 부하직원들을 비판해서는 안된다'는 이유에서다. 슬론 2세는 23년간 GM의 최고경영자를 지내며 혁신적인 경영기법을 고안, '현대 경영이론의 아버지’로 불린다. 이 책은 빌 게이츠가 ‘가장 좋아하는 경영서’로 꼽고 있으며 오늘날 기업 혁신을 추구하는 CEO들이 꼭 한번은 읽는 것으로 유명하다. 21세기 행동하는 지성 '스테판 에셀'은 영면하기 직전 지인들의 압력에 못 이겨 '세기와 춤추다'라는 회고록을 정리하는 것으로 삶을 마무리한다. 그는 이책에서 개인의 스토리텔링이 아닌 역사의 한 흐름을 짚는다. 회고록은 1, 2차 세계 대전과 유엔의 창설, 식민지 국가의 독립, 분쟁, 인종 갈등, 냉전의 최전선에서 살아온 자신의 삶이 시대의 증언이 되고, 20세기 현대사의 다큐멘터리가 됐는 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그는 "진심 어린 앙가주망 안에는 불의와는 중재도 타협도 없음"을 설파하며 "참여와 연대로 불의를 이겨내라"고 주문, 잠든 시대를 깨우고, 높은 이상을 실천해 간 용기의 표상으로 인류에게 큰 반향을 일으킨다. 슬론 2세나 에셀은 물론 마크 트웨인 등 위대한 회고록의 저자들은 한결같이 삶의 반추가 자기 변호나 미화가 아닌, '후대를 위한 조언'여야 한다는 걸 일러준다. 회고록은 지나온 삶과 남은 인생을 깊이 있게 돌아불 때 의미가 있다. 또한 자신의 기록을 통해 시대와 소통하고, 서로를 이해하는 수단여야 한다. 그래서 후대들이 소중한 삶의 지혜와 조언을 얻고 인생을 더욱 풍요롭게 가꿀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이와 달리 1일 출간된 이명박 전 대통령의 회고록은 실책에 대한 미화, 자기 변호로 읽혀지면서 신·구 권력간 갈등을 촉발하고 있다. 특히 국정조사 논란중인 해외자원외교 등과 관련, 정치적 부담거리로 작용해 '정국돌파용'이라는 해석을 낳는다. 회고록이 정치 손익계산에 의해 쓰여짐으로써 논쟁만 키운 탓이다. '회고록은 결코 자기가 자기를 변명하는 도구일 수 없다.' 이게 퇴임한 대통령이 겨우 국민에게 남겨준 교훈이고 유산이라니 !' 이규성 기자 peac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이규성 기자 peac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