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이해력 수준, 40대>30대>50대 순

[아시아경제 고형광 기자] 우리나라 성인 중 금융에 대한 이해력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경제활동이 왕성한 40대인 것으로 조사됐다.금융감독원은 만 18세~79세 전국 성인을 대상으로 금융이해력 수준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일 밝혔다.금융이해력 수준은 40대(71.3점)가 가장 높았고, 그 뒤를 이어 30대, 50-60대(50~64세), 20대(18~29세), 고령자(65~79세) 순이었다. 청년층인 20대(60.3점)는 미래 대비 재무설계 등의 인식이 부족하고, 고령자(58.1점)는 복리계산, 화폐의 시간가치 등 수리적 금융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금융지식, 금융태도(가치관), 금융행위 등 측정영역 조사에선 물가·이자·분산투자 등 금융경제의 기초지식 수준이 높아 금융지식(75.6점) 부문은 우수한 것으로 타나났다. 반면 재무상황 점검, 금융상품 정보수집 노력 등이 미흡해 금융행위(59.0점) 수준이 가장 낮고, 미래에 대비한 저축보다 현재 소비에 대한 선호가 강해 금융태도(61.0점) 점수도 낮았다.지역·계층별로는 군·읍·면 거주(지역별), 낮은 가계소득(소득별), 낮은 학력(학력별), 농어업 종사(직업별) 성인의 금융이해력이 상대적으로 미흡했다. 또 금융교육의 학습 효과는 고령자(65~79세)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 20대(18~29세), 50~60대(50~64세), 30대, 40대 순이었다.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에 따라 측정한 금융이해력은 14.9점(만점 22점)으로, 이는 2012년에 측정한 14개국(평균 13.9점) 중 2위에 해당하는 수치다. 복리이자 계산 등 금융지식 점수는 가장 높은 반면, 재무상황 관리 등 금융행위와 금융태도 점수는 14개국 평균을 소폭 하회했다.금감원 관계자는 "미래를 대비한 재무설계가 충분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금융상품 선택시 금융회사의 마케팅 정보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재무설계, 금융거래 등 금융행위에 대한 금융교육을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고형광 기자 kohk0101@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고형광 기자 kohk010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