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전 혼전계약서, 작성해야할까?

[아시아경제 김소연 기자] 결혼하기 전 혼전계약서 작성 해야할까? 미혼여성은 과반수 이상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반면, 남성은 정반대인 것으로 조사됐다.7일 결혼정보회사 듀오가 지난해 10월2일부터 12월31일까지 전국 20~30대 미혼남녀 782명(남 399명, 여 383명)을 대상으로 ‘혼전계약서의 필요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미혼 여성의 63.2%는 결혼 전 ‘혼전계약서(pre-nuptial agreements)작성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반면 남성은 54.9%가 ‘필요하지 않다’고 답했다.‘혼전계약서가 필요하다’고 답한 422명(남 180명, 여 242명)에게 그 이유를 묻자 과반수에 가까운 미혼남녀가 ‘결혼 후 서로의 인격 존중을 위해(46.4%)’라고 응답했다. 이어 ‘이혼 후 평등한 재산 분할을 위해(21.6%)’, ‘이혼 후 자녀의 공동 양육을 위해(12.8%)’ 순으로 답해 이혼까지 대비하는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반면 ‘혼전계약서가 필요하지 않다’고 답한 360명(남 219명, 여 141명) 중 42.2%는 ‘결혼은 계약이 아닌 약속’이라 생각했다. 그 외에도 ‘사랑하니까 필요하지 않다(24.7%)’, ‘결혼할 때부터 이혼을 생각하고 싶지 않다(20.8%)’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혼전계약서’에 꼭 들어가야 할 항목으로 남녀 모두 ‘결혼 후 행동 수칙(35.4%)’을 1위로 꼽았다. 이어 남성은 ‘결혼 후 가사 분담(21.1%)’, ‘결혼 후 재산 관리(18%)’를, 여성은 ‘결혼 후 재산 관리(18%)’, ‘결혼 후 가사 분담(17.2%)’을 택했다.‘혼전계약서’ 외에도 꼭 필요한 혼전 서류가 있다면 무엇일까? 남성은 ‘혼인관계증명서(30.3%)’를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이어 ‘건강검진표(29.8%)’, ‘가족관계증명서(21.3%)’ 차례로 답했다. 여성은 ‘건강검진표(46%)’를 1위로 택했다. ‘소득금액증명서(15.1%)’, ‘개인 신용인증서(10.4%)’라는 답변이 그 뒤를 이어 소득과 신용에 관해 조심스러운 모습을 보였다. 한편, ‘혼전계약서’ 항목 중 하나인 ‘이혼 시 재산 분할 청구 금지’ 조항이 법적 효력을 가져야 하는지에 대해 묻는 질문에 많은 미혼남녀가 ‘그렇다(남 63.2%, 여 57.2%)’고 답해 눈길을 끈다. 법무법인 공간의 김한규 변호사는 “혼전계약서는 주로 윤리적 지침에 해당하기 때문에 개인의 인격권 등을 고려할 때 법적인 효력을 부여하기는 어렵다”며 “다만, 위자료 산정 등에 있어 법관이 개별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요소로는 기능할 수 있다”고 자문했다. 김소연 기자 nicksy@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김소연 기자 nicks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