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vs비박 계파갈등 격화…뒤숭숭한 새누리당

[아시아경제 장준우 기자] 새누리당의 계파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당내 인사문제와 당협위원장 선정 방식 등을 놓고 김무성 대표와 친박계 수장인 서청원 최고위원이 건건이 충돌하고 있기 때문이다. 당사자들은 계파갈등이 아니라며 진화에 나섰지만 당 내부 분위기는 심상치 않은 상황이다.5일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는 김 대표와 서 최고위원 간에 몇 차례 고성이 오갔다. 김 대표가 당협위원장 선정을 주민들의 뜻을 반영해 100% 여론조사로 하자고 주장한 데 대해 서 최고위원이 "왜 미리 소통하지 않고 대표가 말하느냐. 당의 문제는 상의해서 하자"며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두 사람은 지난달 여의도연구원장에 내정된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명예이사장 인사를 놓고도 한바탕 설전을 치른 바 있다. 또 지난 연말 친박계 인사들끼리의 오찬자리에선 참석자들이 "(김 대표가) 당을 사당화한다" "전횡을 일삼고 있다"며 김 대표에 대한 불만을 노골적으로 표시해 논란이 되기도 했다. 새누리당 내 계파갈등은 김 대표의 '혁신' 행보를 놓고 갈등의 골이 더욱 깊어지고 있는 양상이다. 김 대표가 모든 기득권을 내려놓고 당을 뿌리부터 바꾸겠다면서 내놓은 혁신안을 친박계들은 자신들의 세를 위협하는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김 대표의 전당대회 공약이기도 했던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을 혁신위가 의결한 데 대해 서 의원은 "지금은 오픈프라이머리를 할 때가 아니다"면서 "오픈프라이머리는 우리 홀로 하는 게 아니라 야당과 같이 하는 것이기 때문에 총선 때나 가능한 문제"라며 반대의사를 분명히 했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계파갈등을 놓고 경계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새누리당 초·재선 의원들의 모임인 아침소리는 "계파 이기주의는 당의 망조"라며 비판했다. 모임 소속 김영우 의원은 "계파라고 하는 것은 국정 운영을 잘하기 위한 건강한 견제와 균형일 때 의미가 있는 것"이라며 "대통령을 특정 계파의 대통령으로 우리 스스로 만드는 누를 범해선 안 된다"고 비판했다. 장준우 기자 sowhat@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장준우 기자 sowhat@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