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부동산시장]대책 쏟아냈지만 국민마음 덜 풀렸다

올해 아파트값 전년대비 2.72% 상승 … 시가총액 첫 2000조 넘어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올해 주택시장은 정부의 잇단 부동산 대책이 모처럼 힘을 받는 한 해였다. 수도권을 비롯한 전국 아파트 가격이 하락세를 멈추고 상승 반전했다. 아파트 거래량도 2006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크게 활기를 띠었다. 특히 청약시장에서는 내집마련 수요자들이 대거 몰리며 상승 분위기를 이끌었다.하지만 연말로 접어들면서 집값이 다시 하락하며 정책 약발이 오래 가지 않는 모양새다. 전문가들은 내년에도 이 같은 약보합세의 분위기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30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26일까지 전국 아파트값은 전년 대비 2.72% 올랐다. 2012년과 2013년 각각 3.27%, 0.29% 하락하다가 3년 만에 상승세로 돌아선 것이다. 지난해 1.61% 하락했던 수도권(경기·인천) 아파트값도 올 들어 1.91% 상승했다. 특히 서울은 2.13% 뛰며 상승 폭이 더 컸다. 주택 거래량도 크게 늘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11월까지 전국의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91만건을 돌파, 2006년 이후 8년 만에 최고치를 달성했다. 국토부는 연말까지 거래량이 100만건에 이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아파트 가격 상승에 힘입어 전국 아파트 시가총액은 올 들어 처음으로 2000조원을 넘어섰다. 11월 말 현재 전국 아파트 시가총액은 2056조1243억원으로 지난해 말 1943조5111억원에 비해 112조6132억원 증가했다. 서울 아파트 시가총액은 지난해 말 658조1167억원에서 올해 689조689만원, 수도권은 686조9382억원에서 714조5852억원으로 늘었다.

이처럼 시장 분위기가 나쁘지 않았던 이유는 올 들어 꾸준히 발표된 정부의 부동산 대책 영향이 컸다. 올 초 2·26 주택 임대차시장 선진화 방안 발표 직후 임대소득 노출 우려 등으로 시장이 잠시 주춤했지만 7·24 경제정책 방향과 이어 주택담보대출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완화, 재건축 연한 10년 단축 등을 담은 9·1 대책이 잇달아 발표되면서 시장이 상승세로 돌아섰다는 설명이다. 서울에서도 9·1 부동산 대책 이후 집값이 오르고 주택 거래량이 크게 늘었다. 아파트 거래량은 7월부터 10월까지 꾸준히 상승세를 보였다. 서울 강남권은 재건축 단지들이 수천만 원씩 호가를 높이며 기존 주택시장의 상승세를 견인했고 강북권에서는 노원구나 강북구 등에서 전세난으로 인한 매매수요 증가로 거래량이 늘어났다.하지만 지난 11월 이후부터 다시 시장이 급속도로 식었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거래량은 9만1050건으로 10월 10만9375건 대비 16.8% 감소했다. 서울과 수도권의 거래량도 4만3661건으로 10월보다 19.5% 감소했고 지방도 4만7389건으로 14.1% 줄었다. 서울 재건축 아파트값 역시 지난 10월 넷째 주 이후 계속 마이너스 변동률을 이어가고 있고 일반 아파트 가격도 보합세다.전문가들은 하반기 부동산 규제 완화 정책의 약발이 크게 떨어진 데다 가격 상승에 대한 피로감이 커졌고 분양가상한제 탄력적용,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폐지 등을 담은 이른바 '부동산3법'의 국회 통과가 상당 기간 지연되면서 시장의 분위기가 급격히 식어버린 것으로 진단했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올 한 해 전반적으로 거래가 살아나고 아파트 가격도 상승 전환했다"며 "하지만 11월 이후 부동산3법 통과가 지연되고 계절적 비수기에 접어들면서 가격 상승세가 꺾이고 매매 거래량이 감소 추세에 있다"고 설명했다.이에 내년에도 주택 매매시장의 상승세는 이어지겠지만 상승 폭은 그리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예상 가능한 각종 정책이 모두 동원된 뒤라 시장을 다시 반등시킬 만한 호재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건설산업연구원은 수도권 주택(아파트·단독주택 등 포함) 매매가격은 올해 1.1%에서 내년에는 2.0%로 높아지는 반면 지방의 주택 가격은 올해 2.6%에서 내년 1.0%로 상승 폭이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다.박원갑 국민은행 수석 부동산 전문위원은 "내년 매매시장 분위기는 올해와 비슷한 수준을 넘어서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전세난이 심해질 경우 일부 소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거래가 다소 활발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