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우리은행장, 논란 많었던 만큼 과제도 산적

우리銀, 차기 행장 후보로 이광구 부행장 선정

이광구 부행장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 차기 우리은행장으로 이광구 부행장이 낙점됐다. 이번 선임 과정에서는 논란이 많았던 만큼 차기 행장의 과제도 산적해 있다는 평가다. 우선 내정설 등 행장 선임 과정에서 불거진 문제들을 매끄럽게 해결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흐트러진 조직을 통합하고 분위기를 쇄신하는 것도 차기 행장의 역할이다. 아울러 실패한 우리은행 민영화의 해법을 모색하는 노력도 필요하다.◆행장 선임 과정 논란 해결=우선 이광구 차기 우리은행장 후보자는 이번 선임 과정에서 불거진 여러 논란을 일소하고 임기를 시작해야 한다는 부담을 안고 있다.행장 선임 과정을 되짚어 보면 이순우 행장의 임기 만료를 앞두고 행장후보추천위원회(행추위)가 꾸려질 때만 해도 이 행장의 연임은 기정사실로 여겨졌다. 하지만 갑자기 박근혜 대통령이 졸업한 서강대 출신 금융인들의 모임인 '서강대금융인회(서금회)'의 지원을 받아 이 후보자가 급부상했다는 얘기가 퍼지면서 차기 우리은행장 인선은 혼란스러운 상황으로 치달았다. 결국 이 행장의 연임 포기로 차기 행장은 이 후보자가 사실상 유력한 상황에서 행추위의 이번 결정이 이뤄졌다. 이 후보자는 상업은행 출신의 전통 뱅커로 우리은행장에 오르기 위한 충분한 자격과 능력을 갖추고 있었지만 오히려 서금회와 관련이 있다는 점 때문에 '관치'라는 시선에서 자유롭지 못하게 된 것이다.◆조직 통합 및 분위기 쇄신=이번 행장 선임 과정에서 흐트러진 우리은행 조직을 통합하는 것도 차기 행장에게 주어진 과제다. 우선 이 후보자 자신을 포함해 8명의 부행장이 올해 12월 임기가 만료된다. 자회사 대표들도 12월까지가 임기인 이들이 적지 않다. 신임 행장 취임 후 대규모 임원 인사가 있을 수 있다는 얘기다. 이 과정에서 이른바 '줄대기'나 인사 청탁 등 과거에 벌어졌던 '정치화'가 재현되는 것을 차단해야 한다는 것이 공통된 지적이다. 또한 이 후보자는 이순우 현 행장과 같은 상업은행 출신인 만큼 상대적으로 박탈감을 느낄 수도 있는 한일은행 출신들을 다독여야 한다. ◆실패한 우리은행 민영화 수습=올해 우리은행의 최대 현안이었던 민영화는 여전히 해결되지 못한 채 현재진행형으로 남아 있다. 차기 행장도 민영화 추진이라는 책임감을 지고 가야하는 것이다. 우리은행의 30% 경영권 지분 매각은 유효 경쟁이 성립하지 않아 무산됐고, 이어 소부지분도 6% 정도만 낙찰된 것으로 나타났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낙찰자에게 낙찰물량의 2분의 1에 해당하는 콜옵션을 부여하고 다음 주 중 주식매매계약을 체결, 매각을 종결할 예정이다. 매각되지 않은 우리은행 지분 48.06%에 대한 매각 방법과 추진시기 등은 추후 공자위에서 논의된다. 향후 민영화 방법을 새롭게 결정하는 데 우리은행이 주도권을 갖기 위해서는 행장의 역할이 필요한 것이다. 행추위도 이 후보자를 선정한 배경으로 "이광구 후보가 은행업 전반에 대한 폭넓은 경험과 역량을 바탕으로 우리은행의 기업 가치를 제고함으로써 최대 현안인 민영화와 우리은행 경쟁력 제고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