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인구가 남성을 넘어서는 '여초(女超) 시대'가 눈앞으로 다가왔다. 통계청 인구추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내년 여성인구가 2531만명으로 남성(2530만명)을 앞지를 것이라고 한다. 1960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후 처음이다. 남아선호 현상이 수그러든 데다 저출산ㆍ고령화가 가세한 결과다. 남녀 출생비(105.3)는 정상범위 안에 들어왔다. 여기에 급속한 고령화 현상은 여성인구 비중을 높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여성의 평균 수명이 남성보다 훨씬 긴 때문이다. '여초 시대'의 흐름은 사실상 우리 사회 속에 깊숙이 들어와 있다. 대학 진학률은 이미 여성이 남성을 앞섰다. 교사는 물론 공무원, 법조계 등 사회 각 분야에서 여성의 비율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사회 곳곳에는 아직 남성 중심의 편견과 불평등이 여전히 존재한다. 경제활동 참가율은 수년째 55%대로 남성보다 20%포인트가량 낮다. 임금은 남성의 70% 정도다. 승진을 가로막는 유리천장은 단단하다. 여성 인력을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에 따라 나라 경제의 미래가 달렸다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일과 가정의 양립이 가능한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취업을 해도 결혼과 출산, 육아 등으로 일을 그만둔 경력단절 여성이 406만여명에 이른다고 한다. 채용, 인사, 승진, 임금 등에서 불이익을 받는 폐습은 하루 빨리 고쳐져야 한다. 급속한 고령화는 인구구조 변화에서 가장 걱정되는 부분이다. 3년 뒤 2017년이면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14%를 넘는 고령사회로 진입한다.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로 진입하는 데 17년 밖에 걸리지 않는 셈이다. 일본은 36년, 독일은 77년이 걸렸다. 2026년에는 노인인구가 20%가 넘는 초고령사회가 된다. 고령화로 인해 실질성장률이 올해 3.6%에서 2060년에는 0.8%로 떨어질 것이라는 국회 예산정책처의 장기 예측도 있다. 빠르게 변하는 인구 구조에 대응한 단기정책은 물론 중장기 대비책이 절실하다. 양적으로는 크게 늘어났으나 불평등한 대우를 받고 있는 여성 인력의 능력을 끌어 올려 극대화하는 것은 저출산과 경제활동인구 감소에 대한 주효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실효성 있는 저출산 대책과 노령화 진전에 따르는 경제사회적 정책도 급하다.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