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재 한국선주협회 회장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다. 특히 남북이 분단된 관계로 사실상 섬나라나 다름없어 해운의 중요성은 막중하다.우리나라 수출입화물의 99.7%가 바닷길을 통해 안정적으로 수송되고 있으며 부산항이 세계 5위, 조선산업이 세계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는 것도 외항해운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다.우리나라 외항해운산업은 또 연간 350억달러의 외화를 획득함으로써 석유제품, 반도체, 자동차, 조선과 함께 5대 외화획득산업으로서 국가경제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해운은 또 항만, 조선, 금융, 철강, 보험 등 전후방 관련산업의 연계발전을 견인한다. 유사시에는 육해공군에 버금가는 제4군으로서 전략물자를 수송하는 등 안보산업의 역할까지 톡톡히 해내고 있다.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 따르면 해운과 조선 등 세계해양산업 규모는 2008년 7조6000억달러에서 2020년에는 14조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는 등 해운을 비롯한 해양산업의 가치는 우리들의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무궁무진하다.이미 덴마크를 비롯해 프랑스, 스위스, 중국 등 주요 해운국들은 2008년 9월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로 해운시황이 폭락함에 따라, 위기에 처한 자국 해운산업의 회생을 위해 금융지원을 대폭 강화했다. 이들 국가의 해운기업들은 위기를 조기에 극복하고, 수익성을 극대화하는 데 열을 올리고 있다.올 들어 덴마크의 머스크라인이나 프랑스의 CMA-CGM 등은 위기를 조기에 극복하고 친환경 초대형 컨테이너선을 잇달아 시장에 투입하면서 규모경제의 이점을 극대화시켜 나가고 있다.하지만 우리나라는 세월호 참사 이후 해운산업 전반에 대한 불신이 확산되면서 외항해운업계의 위기극복 활동이 전면 중단됐다. 또 한국 상선대의 경쟁력과 직결되는 정상적인 해운정책 추진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우리나라 대표선사인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은 수익성을 내는 전용선부문과 컨테이너 터미널을 매각하는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통해 하루하루를 힘겹게 버텨나가고 있다. 이런 와중에도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은 기대할 수 없는 형편이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세계 5위의 한국해운 위상 저하는 불가피하고 최악에는 해운기반까지 와해되지 않을까 심히 우려된다. 지금부터라도 외항해운의 경쟁력 유지를 위한 정책들이 정상적으로 추진돼야 한다. 올해 말 일몰을 맞는 톤세제도의 존속 문제를 비롯해 해운보증기구의 조기 설립, 회사채 시장 안정화 방안 연장, 3자 물류 활성화 등 외항해운 현안이 산적해 있다.특히 톤세제도는 한국 상선대의 국제경쟁력을 좌우하는 글로벌 해운세제다. 반드시 존속되거나 영구화돼야 한다. 세계 상위 20여개국(세계 상선대의 70% 차지)은 자국 상선대의 국제 경쟁력 제고를 위해 톤세제를 영구 시행하고 있다.세계 교역 항로에 운항 중인 상선대 10척 중 9척이 톤세제를 적용받거나 세금이 거의 없는 저조세 국가 선박인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글로벌 시장에서 무한 경쟁하는 해운산업의 특성상 국내에서만 통하는 시스템으로는 해운기업의 영속성은 고사하고 생존과 번영을 기대할 수 없다. 한국 상선대의 국제 경쟁력을 유지하고 우리나라를 2020년 세계 3대 해운강국으로 올려놓기 위해서는 세계에 통용되는 해운세제의 글로벌 스탠더드를 반드시 확립해야 한다. 2002년 이후 선박투자회사제도와 제주선박등록제도, 톤세제와 같은 선진 해운제도가 도입된 후 우리나라 해운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세계 5위로 해운국으로 등극한 것을 상기해야 한다. 경쟁력을 좌우하는 좋은 제도를 도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현재 좋은 제도를 지키고,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되새겼으면 한다.끝으로 전 해운인의 이름으로 세월호 참사의 유가족께 진심으로 애도의 뜻을 표하는 바이다.이윤재 한국선주협회 회장<ⓒ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