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기 맞은 박원순 첫 결재서류는 '재난 초기대응 매뉴얼'…안전공약 실현되나

-소방서장 등 실무책임자 현장권한 강화-노후 전동차 2022년까지 교체 -어린이 안전 위한 스쿨버스 도입 추진 [아시아경제 박나영 기자] 박원순 서울시장이 재선에 성공한 뒤 서울시청에 복귀해 새로 맞은 첫 주인 지난 9일. 이날 박 시장은 두 번째 임기 첫 결재 문서에 서명했다. 그 문서는 '재난 현장 초기대응 매뉴얼 보완·활용계획'이었다. 이는 박 시장이 선거과정에서 줄곧 강조해온 '안전정책 강화'에 대한 실천의지를 보여준 것으로 풀이된다. 박 시장이 2011년 보궐선거에서 '보편적 복지'를 핵심 가치로 내세워 당선됐을 당시 출근 후 가장 먼저 '친환경 무상급식 확대 사업' 문서에 결재도장을 찍었던 것과 같은 맥락이다.  10일 서울시 관계자에 따르면 박 시장은 당선 이후 첫 출근일인 5일 시청에 나와 첫 간부회의를 열고 재난현장 초기대응 매뉴얼에 대해 논의한 후 9일 해당 문서에 결재했다. 결재된 매뉴얼은 기존의 '재난현장 초기지휘 매뉴얼'을 보완한 것으로 재난이 일어난 곳의 관할 소방서장 등 실무책임자에게 현장 지휘권을 위임하는 규정 등이 담겼다.  박 시장은 세월호 참사와 왕십리역 지하철 추돌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안전사고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이 커지자 안전예산 2조원 추가 확보를 주요골자로 하는 '안전특별시, 서울'을 이번 선거의 핵심공약으로 내세웠다. 박 시장이 시정 운영을 맡은 2011년 시의 안전예산은 4800억원(2.5%)이었으며 이후 점차 늘어나 올해는 안전예산이 9000억원(4.2%)으로 잡혔다. 박 시장은 이에 더해 시정 2기 4년 동안 매년 5000억원씩 2조원을 추가로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박 시장은 우선 장기사용 노후 전동차를 호선별로 2022년까지 전면 교체하기로 했다. 또 지난 5월에 일어난 지하철 추돌사고를 계기로 지하철 운영과 관련된 조직·인력·시설개선·투자계획 등 운영시스템을 근본적으로 개혁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박 시장은 또 시장 직속의 재난안전컨트롤타워를 신설하고 사고발생 시 희생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55개 영역에서의 재난 유형별 골든타임목표제도 도입하기로 했다.  박 시장은 시정 1기부터 기상이변에 따른 자연재난·재해 증가로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을 위한 대비책 마련에도 힘쓰고 있다. 최근 10년간 서울의 강우량은 7% 증가하고 그에 따른 피해는 최근 30년간 10배 이상 높아졌다. 이에 박 시장은 34개 상습침수피해지역에 대한 '풍수해대응행동매뉴얼' 및 '침수피해 ZERO 실행계획'을 수립해 실행하겠다고 공약했다. 매년 5개 위험지역의 상습침수피해를 해소해 나가 2020년까지 34곳의 침수위험을 모두 해소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같은 정책의 일환으로 시는 지난달 15일부터 '풍수해 안전도시 서울'을 목표로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운영하고 있다. 본부는 '풍수해 안전도시 서울'을 목표로 지역맞춤형 방재시설 확충·정비, 산사태 예방 및 하천고립사고 방지 등을 담당한다. 지난달 본부 개소식에 참석한 박 시장은 풍수해에 대비한 매뉴얼 등 대응시스템을 재확인하고 수방 시설에 대한 철저한 점검과 지속적인 보완을 약속했다.  시는 재난단계별로 교통대책을 추진할 비상수송대책본부도 가동하기로 했다. 또 집중 호우로 도로가 침수돼 버스 이용이 어려울 때 지하철 운행을 최대 1시간 연장하고 침수로 인해 지하철을 이용할 수 없을 때에는 시내버스를 최대 1시간 연장 운행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박 시장은 어린이보호구역에서의 어린이 교통사고 발생률을 줄이기 위해 초등학교 스쿨버스 도입도 약속했다. 그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어린이 10만명당 사망자수 1.3명을 2020년까지 제로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초등학생 2명 중 1명은 '나홀로 등하교'를 하고 있는 점을 고려해 초등학교 통학거리가 먼 300개교를 대상으로 학교당 2대씩 스쿨버스를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박나영 기자 bohena@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박나영 기자 bohena@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