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적조예보제 시범연구 사업
▲선박이 적조 방재작업을 벌이고 있다.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적조가 발생하기 일주일 전에 예보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시범연구가 시작됐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는 적조생물이 바닷물에 급격히 늘어나 물고기를 대량으로 폐사시키는 적조현상을 발생 일주일 전에 미리 예보해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시범연구 사업을 위해 11일 서울대를 주관 연구기관으로 선정했다.'적조 발생 조기예보 시범사업'은 적조문제의 주관부처인 해양수산부(장관 이주영)와 공동으로 마련한 '적조대응 중장기 종합대책' 중 하나이다. 올해 해수부는 적조예보의 정확성을 높이고 조기예측이 가능하도록 적조 조사지점 확대, 조사주기 단축, 예보단계 강화 등의 개선방안을 추진한다. 해황·위성·기상정보 등을 종합해 해상도 10㎞ 수준의 '광역 적조예측 모델'을 적조예보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번에 적조예보 시범사업은 해수부의 개선방안을 보완해 국지적인 예측모델을 개발하는 것으로 조기 예측과 정확한 예측모델 개발이 목적이다. 현재 적조 예보는 바닷물을 직접 채취해 바닷물에 적조생물이 얼마나 존재하는지를 실험실에서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방식이다. 적조발생 여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한 장점은 있지만 일단 바닷물에 존재하는 적조생물이 언제 어디에서 급증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복잡 다양한 해양환경과 연안해역의 특성으로 인해 예측시기와 정확도에 있어 한계가 있다. 이번 적조발생 조기예보 시범사업은 대부분의 적조가 발생하는 남해 지역 약 60개 지점의 다양한 깊이에서 바닷물을 채취해 지금까지 밝혀진 적조발생 해양환경 조건(수온, 염분, 영양염류 농도, 수온이 급격히 변하는 수심인 수온약층의 깊이 등)과 대표적인 적조생물인 코클로디니움의 생애주기별 특성(최적 환경조건, 수직이동 능력, 다른 적조생물과의 경쟁 등)을 분석해 적조발생 예상시점과 지역을 확정하고 그 결과를 관계기관에 통보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시범사업이 성공할 경우 적조 방제기관과 어민들은 적조생물이 급증하기 일주일 정도 전에 적조발생 예보를 받아 적조 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제 대책을 마련할 수 있다. 연구책임자인 정해진 서울대 교수는 "현재 기술로도 변화무쌍한 해양환경에서 적조 발생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매우 도전적인 목표지만 최선을 다해 시스템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문 미래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은 "이번 시범사업을 계기로 해양수산부 등 관계기관과 긴밀하게 협조해 적조 발생 시점과 장소를 조기에 정확하게 예측해 매번 반복되는 적조 피해에 충분히 대비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