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21일 금요일 주요경제지 1면 기사* 매경 ▶굿바이 '피겨 퀸'…당신이 있어 행복했습니다 ▶현대차 수소車…英·獨·佛 수출 ▶땅 공시가 3.6% 상승…보유세부담 늘어난다 ▶기능중복 공기업 구조조정 * 한경 ▶사모펀드 규제 풀어 M&A판 키운다 ▶세종시 땅값 '질주'… 18% 치솟아 ▶페이스북, 와츠앱 190억불에 인수 ▶카카오 불공정 행위 집중 감시 * 서경▶朴 "공공기관 기능 전면 재검토하라"▶TM영업 재개됐지만…서민금융 대출 10분의 1 토막▶이산가족 눈물의 재회▶다시 고개든 G2 리스크* 머니▶'낙하산 인사' 법으로 막는다▶조선업계 보증선 은행들 '세금폭탄'▶월세 비중 47% '사상최고'…전세의 종말▶해외자금 조달 나선 롯데쇼핑 '고금리 굴욕'* 파이낸셜▶정부, 금리 1% 직장인 학자금대출 슬그머니 폐지▶관련경력 없으면 공공기관장·감사 못한다▶알제리 발전플랜트 6개 중 5개 '싹쓸이'▶개인정보 안 새게…금융보안 전담기관 내년 설립◆2월20일 목요일 주요이슈 정리* -김연아가 석연치 않은 판정 속에 자신의 마지막 올림픽을 은메달로 마무리. 김연아는 21일(한국시간) 러시아 소치 아이스버그 스케이팅팰리스에서 열린 2014 소치 동계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 프리스케이팅에서 기술점수(TES) 69.69점, 예술점수(PCS) 74.50점으로 144.19점을 기록. 전날 쇼트프로그램 점수 74.92점을 보태 최종합계 219.11점으로 은메달을 획득. 노르웨이의 소냐 헤니(1928, 1932, 1936년)와 옛 동독의 카타리나 비트(1984, 1988년)를 잇는 역대 세 번째 올림픽 2연속 우승은 무산. * -금강산에서 열린 제 19차 남북이산가족 상봉행사의 첫 단체 상봉이 20일 오후 3시에 시작 해 5시2분에 종료. 이날 단체 상봉에서는 1970년대 서해상에서 조업 중 북한으로 끌려간 납북 선원 박양수씨와 최영철씨가 금강산호텔에서 열린 이산가족 상봉 첫날 단체상 봉행사에서 동생 박양곤씨와 형 최선득씨를 각각 만나는 등 혈육의 정을 나눴음. 이날 상봉에서는 남측 이산가족 12명이 부부ㆍ자식을, 47명이 형제ㆍ자매를 만났으며 23명이 3촌 이상 친지를 상봉. 단체상봉 후 오후 7시17분께는 북측 주최로 금강산호텔에서 환영 만찬이 열렸음. 환영 만찬에는 남측 이산가족 상봉 대상자 82명과 동반가족 58명, 북 측 가족 178명을 비롯해 이번 상봉 행사를 주관하는 남북 적십자사 관계자들이 참석.* -교회에 150억원대 손해를 끼친 혐의 등으로 재판에 넘겨진 조용기 여의도순복음교회 원로 목사가 유죄 판결을 받아. 아들인 조희준 전 국민일보 회장은 징역 3년의 실형을 선고받고 법정구속. 서울중앙지법은 20일 배임 및 조세포탈 혐의로 기소된 조 목사에게 징역 3년 에 집행유예 5년, 벌금 50억원을 선고. 재판부는 조 목사에 대해 의사결정권을 가진 교회 당회장으로서 관계자들이 허위 서류를 작성하도록 승인하는 등 범행을 저질러 지위와 역할에 걸맞은 처벌이 필요하다고 밝혀. 조 전 회장에 대해선 범행을 주도했고 그로 인한 이익을 취한 점에 비춰 실형을 선고하고, 도주의 우려가 있어 법정구속한다고 설명. * -이집트 폭탄 테러 현장에서 테러범을 온 몸으로 막아 희생자를 줄인 현지 가이드 제진수씨의 시신이 20일 오후 한국으로 옮겨졌음. 제씨의 시신은 카이로를 출발, 두바 이를 거쳐 이날 오후 4시50분께 인천국제공항에 도착. 제씨와 같은 비행편으로 입국한 제 씨의 부인과 큰 딸은 참단한 표정으로 입국장을 빠져나와 제 씨의 운구행령에 동참. 현지가이드 겸 여행업체 사장인 제 씨는 충북 진천 중앙장로교회 교인 김홍렬씨와 한국가이드 김진규씨, 이집트인 운전사 등 이번 사고로 희생된 4명 중 한명으로 테러범이 버스 계단에 한 발 들이는 순간 몸으로 밀쳐 희생자를 최소화했으나 본인은 그자리에서 숨져.◆아시아경제 눈에 띈 기사* -코스피200 야간선물시장의 외국인 일평균 거래대금은 1조원 규모로, 이 중 A사가 절반가량을 차지하는 등 금융감독당국이 코스피200 야간선물시장에서 외국계 기관투자가의 불공정 거래를 포착, 조사에 들어간 사실을 발빠르게 보도한 기사. * -신학기를 앞둔 대학들이 제2캠퍼스를 이른바 '기숙형 캠퍼스'로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대학들이 이를 졸속 도입하면서 일방적인 추진이나 준비 부실 등으로 학교와 학생, 지자체 간에 마찰과 잡음이 잇따르고 있는 상황을 들여다본 기사.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