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공공과 민간이 함께 인간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진행할 때, 초기 단계에서 대학 및 병원 중심의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윤 추구가 목적인 민간 기업의 초기 참여는 오히려 연구의 질과 생산성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는 설명이다.13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배포한 '공공-민간 협력구조와 과학기술연구의 생산성: 인간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중심으로' 보고서에 따르면, 협력 패턴을 분석해본 결과 민간기업과 공공 연구소 간 실시된 인간 배아줄기세포 공동연구는 연구의 질, 영향력, 내용의 독창성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냈다.반면 민간 기업이 병원과 협력할 경우 후속연구에 기반이 되는 연구 성과를 도출하는 사례가 많았던 것으로 파악됐다.또한 공동 연구는 단독 연구에 비해 질적인 부분과 영향력 부문에서 향상을 보였지만 연구의 독창성과 다양성 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보고서를 작성한 문성욱 서강대학교 기술경영대학원 부교수는 "현재로서는 민간 기업 참여가 연구 성과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거나 오히려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병원과의 협력이 효과적"이라며 "합리적인 협력 구조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연구 초기 단계에 대학, 공공연구소 및 병원 중심의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 부교수는 "특히 연구능력을 갖춘 병원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한 후 "상업적 활용을 강조하는 기업들의 참여시기는 전략적으로, 기초지식이 축적된 이후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초기 단계에서부터 이윤 추구가 목적인 민간 기업이 공동연구에 들어갈 경우 질과 영향력, 독창성 모두 낮은 결과물을 생산할 위험이 크다는 설명이다. 문 부교수는 "인간 배아줄기세포 분야 연구는 다양한 기관 간의 협력, 활발한 국제협력, 불안정한 민간기업 참여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며 "연구 성과에 대한 접근방식이 다른 기관 간 협력 구조를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전체 연구 생산성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세종=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