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쓰듯 돈이 새고 있다

수도권 3개 광역지자체 수천억짜리 수돗물고도정수처리시설 사업 추진...수돗물 음용률은 제지라...실효성 없어 예산 낭비 논란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수도권 광역지방자치단체들이 수천억원을 들여 수돗물 품질을 높이는 사업을 벌이고 있으나 효과는 뚜렷하지 않아 '예산 낭비' 논란이 일고 있다. 서울시와 경기도, 인천시는 '고도정수처리시설'을 도입해 수돗물을 한 번 더 걸러냄으로써 냄새를 없애고 맛을 개선해 음용률을 높이겠다는 취지지만 시민들의 수돗물 음용률은 거의 높아지지 않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 오세훈 전 시장 시절인 지난 2007년부터 서울 시내 6개 정수장에 총 4973억원을 들여 고도정수처리시설을 설치 중이다. 이미 영등포 정수장과 광암정수장엔 지난 2011년과 2012년 각각 설치가 완료돼 가동 중이다. 나머지 암사정수장, 강북정수장, 구의정수장, 뚝섬정수장도 2014년 말까지 설치를 마치고 가동에 들어갈 계획이다. 서울시는 고도정수처리시설을 설치해 일반정수처리 공정으로는 처리되지 않는 맛ㆍ냄새 유발물질과 미량의 오염물질 등을 제거하고 있다. 필터 등을 추가로 설치해 수돗물의 맛ㆍ냄새 유발물질(2-MIB 곰팡이 냄새, Geosmin 흙냄새)과 미량 유기물질을 제거하는 시스템이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상수원 수질의 급격한 변화에 적극 대처한다는 취지도 내세우고 있다. 인천시도 올해부터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을 본격 추진 중이다. 우선 부평정수장에 394억원을 투입해 2015년 10월까지 기존 시설 개량ㆍ활성탄 및 오존 설비 설치 등 고도정수처리시설을 갖추고 있다. 올해 초 계약을 마치고 착공한 상태다. 인천시는 오는 2022년까지 나머지 공촌, 남동, 수산정수장에도 191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단계별로 고도정수처리 시설을 도입 추진할 계획이다. 이에 들어가는 예산은 총 2300여억원으로 추산된다.경기도도 최근 들어 이 사업 추진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지난해 경기도의회는 "수돗물 악취 발생을 근본적으로 막기 위해서는 정수장에 고도정수처리시설을 도입해야 한다"며 정부 지원을 요청했다. 이에 경기도가 1359억원을 들여 10개 정수장에 고도정수처리시설을 우선 설치하기로 하고 지난해 정부에 사업비 지원을 요청했다가 거절당해 사업 추진이 보류된 상태다. 경기도는 팔당호ㆍ북한강 수계의 물을 식수로 쓰는 15개 시ㆍ군 22개 지방정수장에 고도정수처리시설을 설치하려면 5289억원이 필요하다는 계산이다. 이에 앞서 수원시가 지난 3월 자체 예산을 들여 2015년부터 가동할 계획으로 광교정수장에 고도정수처리시설 공사를 진행 중이다. 문제는 이같은 고도정수처리시설 사업이 거액의 예산 투입에도 불구하고 효과가 별로 없다는 것이다. 실제 서울 시민들의 수돗물 음용률은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 이전과 이후 간에 별다른 변화가 없는 실정이다. 수돗물 음용률은 50%대에 머물고 있고, 이 중 끓이지 않고 직접 마시는 음용률은 여전히 5% 수준에 불과하다. 환경부 조사 결과 서울 시민들의 수돗물 음용률은 2010년 54%, 2011년 52.8%, 2012년 54.8% 등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회 등에선 고도정수처리시설 사업에 대해 "효과는 없으면서 '업자'들 배불리고 공무원들의 자리 지키기에 이용되고 있다"며 실효성 논란을 제기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이해찬 의원은 지난 22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의 서울시 국감에서 "시 상수도사업본부가 일을 하기 위한 일을 하고 있다. 지난 1995년도에 상수도 수질 개선 3개년 계획을 세울 때 배관 고치는 비용을 많이 대 줬는데, 그게 끝나니 별 효과도 없는 이 사업을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자기 예산 몫을 안 뺏기려고 해서 그렇다. 큰 프로젝트 끝나면 다른 부서에서 배분받아 쓸 수 있도록 예산 구조를 개혁해야 하는데 자기 부처것을 고수하면서 불필요한 사업을 한다. 경직되고, 일반적인 지방행정의 오랜 관습 중의 하나"라고 질타했다.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 관계자는 이에 대해 "지난해 녹조 현상이 심해 전국적으로는 수돗물 음용률이 소폭 감소했는데도 서울은 감소하지 않았다"며 "아직 홍보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고 일부 지역에나 도입돼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이 효과가 있는지 없는지는 제대로 판단할 수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