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밍 악성코드 급증…'파일공유 사이트 특히 조심해야'

▲파밍 차단 접속 통계(출처: 한국인터넷진흥원 홈페이지)

[아시아경제 온라인이슈팀] 추석 이후 잠잠하던 '파밍 악성코드'가 다시 급증하고 있다.지난 15일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기주, KISA)은 지난 9일 이후 이용자 접속이 많은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파밍 악성코드가 급증했다며 이용자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파밍은 악성코드가 PC에 잠입하여 정상 은행사이트 주소를 입력해도 가짜 은행 사이트로 접속하게 돼 인터넷 뱅킹 이체 자금을 탈취하는 방식이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지난달 10일부터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와 협력해 파밍 알리미 서비스를 제공해왔으며 악성코드에 감염된 PC에서 파밍 사이트로의 접속을 차단하고 있다.지난달 10일부터 14일까지 5일간 확인된 파밍 악성코드 감염 PC는 약 35만 대로, 총 1백만 건의 파밍 사이트 접속 시도를 차단했다. 한국진흥원관계자는 "파일공유 사이트를 이용할 경우 악성코드 감염을 조심해야 한다"며, "정상적인 은행 사이트에서는 전체 보안카드 번호 등 과도한 금융정보 입력을 요구하지 않으니 반드시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파밍 악성코드 급증'이라는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다운로드 받을 때 조심 해야겠다", "저렇게 당하면 얼마나 억울할까", "바이러스 검사 수시로 해야겠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온라인이슈팀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온라인이슈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