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이통, 와이브로 대신 LTE-TDD로 승부해야'

[아시아경제 김영식 기자]“와이브로의 실패는 정책과 사업전략의 실패였다. 제4이동통신사업자가 LTE-TDD 기술을 선택하면 더 많은 소비자 후생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와이브로의 실패를 인정하고 LTE-TDD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는 학계의 주장이 제기됐다. 고려대 부설 정보문화연구소와 카이스트(KAIST) 부설 ‘주파수와 미래’ 연구센터는 1일 서울 상공회의소에서 개최한 ‘새로운 4G 기술, LTE-TDD의 활용가치’란 주제로 세미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는 제4이통사업자가 지금까지의 와이브로 대신 LTE-TDD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연구 결과가 소개됐다.발제자로 나선 김성륜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LTE 기술이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으며, 시분할 방식인 LTE-TDD는 아직까지 비주류지만 중국과 인도 등 개발도상국 시장에서 시장을 넓혀가고 있으며, 와이브로의 새로운 대안으로 국내 장비업계와 통신사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소개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LTE-TDD는 LTE-FDD에 비해 동일 데이터통신 상태에서 배터리 효율이 20% 더 높고 1.5배 정도 속도가 더 빠르다는 선행연구 결과가 있다. 김성륜 교수는 “기존의 주류인 주파수분할 LTE-FDD 방식에 LTE-TDD를 혼용할 경우 사용자 후생이 어느 정도인지 분석한 결과, 소비자의 한계지불의사액(지불할 용의가 있는지의 최고치 액수)는 월평균 2320원이며, 전체 LTE가입자 약 2400만명이 1년간 쓴다고 가정할 경우 총 후생값은 연간 6679억원”이라고 분석했다. 또 김성륜 교수는 “단말기 제조사는 LTE-TDD를 도입한 중국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통신장비업체는 한계에 봉착한 와이브로의 대안으로 LTE-TDD 도입을 요구하고 있으나 정부가 아직 입장정리를 명확히 하지 못한 상태이기에 중소기업들이 관망하고 있다”면서 “정부의 명확한 방향설정과 지원이 없다면 시장 진입은 실질적으로 어렵다”고 진단했다. 이어 김성철 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는 “와이브로는 국제표준을 주도했던 우리나라의 토종 기술이지만 2012년 이후 가입자 정체현상을 겪으며 더 이상 발전하지 못하고 쇠락하는 중”이라면서 “국내 시장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레퍼런스가 없어 해외시장 성과도 일구지 못한 정책과 사업전략 모두의 실패”라고 지적했다.김성철 교수는 “와이브로 진영은 기술적으로 유사한 LTE-TDD방식으로 전환하고 있다”면서 “지금까지 와이브로 방식으로 도전했으나 4차례 모두 탈락했던 제4이통사업자가 LTE-TDD 기술을 선택한다면, 통신상품 다양성의 증가로 소비자의 선택권이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4이통사업자의 LTE-TDD 서비스에 대해 소비자들의 한계지불의사액을 추정한 결과 월 평균 3722.7원이란 결과가 나왔고, 사용자들이 LTE-TDD의 가치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김 교수는 소개했다. 또 김성철 교수는 “기존 이통사업자가 LTE-TDD를 혼용하는 것보다 제4이통사업자가 LTE-TDD기술로 신규 서비스를 내놓는 것이 사용자 후생이 더 컸다”면서 “시장에 신규진입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할 때 새로운 기술인 LTE-TDD로 승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지난달 13일 열린 ‘와이브로 정책방향 토론회’에서 “와이브로 용도로만 사용하기로 했던 2.5㎓ 주파수 40㎒ 대역에서 와이브로 외에 LTE-TDD도 선택할 수 있게 허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달 안에 한국모바일인터넷(KMI) 컨소시엄이 LTE-TDD 방식으로 다섯 번째 도전에 나서고 경쟁자인 인터넷스페이스타임(IST) 컨소시엄은 ‘와이브로 어드밴스드’ 기술방식으로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진행된 토론에서는 발표 내용에 대한 이견이 제기됐다. 박덕규 목원대 정보통신공학과 교수는 “LTE-TDD가 LTE-FDD에 비해 전송속도와 배터리 효율이 더 낫다고 했으나, 실제로는 대역폭이 넓은 FDD방식이 더 빠를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 TDD방식과 FDD방식이 우위를 나타낼 수 있기에 단순비교는 어렵다”고 지적했다. 최용제 한국외대 경제학부 교수는 “소비자 후생 차원의 가치가 있다고 해도 신규사업자가 새 기술을 도입하는 것은 만만치 않을 수 있고, LTE-TDD를 위한 투자비와 기존 와이브로 대비 효용을 비교해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김영식 기자 grad@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김영식 기자 grad@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