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수입차 '수리비 뻥튀기' 실체 밝혀지나

[아시아경제 ]검찰이 그제와 어제 이틀에 걸쳐 BMW, 메르세데스벤츠, 폴크스바겐, 아우디, 렉서스, 도요타 등 수입차의 국내 판매업체 본사 및 매출이 높은 일부 서비스 센터 총 18곳을 압수수색했다. 수입차 국내 판매업체들이 차 부품 가격을 부풀려 수리비를 과다 청구한 의혹이 지속적으로 제기된 데 따른 것이라고 한다. 검찰이 수입차의 수리비 '뻥튀기' 수사에 나선 것은 이례적으로 이번이 처음이다. 수입차의 턱없이 비싼 수리비는 어제오늘 얘기가 아니다. 보험개발원 조사에 따르면 국산차에 비해 부품값은 6.3배, 공임은 5.3배, 도장료는 3.4배 비싸다. 조금 스치기만 해도 수백만, 수천만원을 물어야 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고 한다. 최근엔 수입차 업체들이 공격적 마케팅을 벌이며 차 가격을 낮추는 대신 정비나 수리를 할 때 비싼 부품으로 바가지를 씌운다는 소비자 불만이 더욱 커지고 있다.  수입차가 점차 대중화하면서 시장 점유율도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6월 말 현재 국내 등록 수입차는 80여만대에 이른다. 전체의 6%에 달한다. 올 들어서도 8월까지 판매량이 10만3417대를 기록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7%나 늘었다. 이처럼 수입차가 늘어나는 현실에서 수입차의 비싼 수리비는 사고나 고장이 났을 때 운전자에게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  자동차보험회사들이 수입차 사고 수리비로 지급한 보험금은 2011년 5224억원에서 2012년 6541억원으로 25% 늘었다. 같은 기간 국산차 보험금은 2조8978억원에서 2조9623억원으로 1.9%밖에 늘지 않았다. 수입차 비중은 6%가량인데 보험금 비율은 18%에 달한다. 수입차 보험비용을 국산차 운전자들이 덤터기 쓰는 꼴이다. 보험업계의 손실로도 이어져 보험료를 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국산차 운전자들이 수입차 수리의 보험금을 덤터기 쓰는 불합리한 구조를 그대로 둬선 안 된다. 수입차 업계의 구조적 부조리를 뿌리 뽑아야 한다. 검찰은 부품 유통 과정에서 가격 부풀리기는 없었는지, 보험금을 허위로 청구한 혐의는 없는지 등을 철저하게 조사하길 바란다. 제도 개선도 뒤따라야 한다. 부품 공급을 수입차 본사가 독점하지 못하도록 자유경쟁에 맡길 필요가 있다. 국산차와 마찬가지로 객관적인 표준수리비 기준도 서둘러 만들어야 할 것이다.<ⓒ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