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초희 기자]전국 아파트 전세 재계약 비용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근 5년 동안 두 배 이상 상승했다. 이에 따라 전세 재계약 비용 충당으로 3년 연속 적자구조가 이어지면서 가계의 소득대비 지출 비용을 줄이는 '불황형 흑자' 구조로 전환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부동산114가 전국 아파트를 대상으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최근 5년간의 평균 전세 재계약 비용을 살펴본 결과 2110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8년 금융위기 직전의 5년(2004~2008년) 평균 833만원에서 약 2.5배 가량 높아진 것이다. 최근 5년 동안의 전세 재계약 평균 비용은 전국 17개 시도의 지역이 1000만원 수준을 넘어섰다. ▲서울(3580만원) ▲세종(2897만원) ▲부산(2322만원) ▲경기(2117만원) ▲대전(2056만원) ▲대구(2046만원) ▲경남(1858만원) ▲울산(1718만원) ▲충남(1615만원) ▲충북(1559만원) 등 순으로 전세가격 재계약 비용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2008년 금융위기 이전까지는 서울, 울산을 제외하고 전세 재계약 비용이 1000만원 이하로 자금 마련 부담이 크지 않았다. 특히 ▲전남(511만원)과 ▲대전(527만원) 지역은 전세 재계약 비용이 평균 500만원 이하로 저렴했다.최근 5년 평균 전세 재계약 비용 증가액은 수도권보다 지방 지역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세종(2182만원)이 재계약 평균 증가 비용이 높았으며, 그 뒤로 ▲서울(2102만원) ▲부산(1777만원) ▲대전(1529만원) ▲대구(1374만원) ▲경기(1317만원) ▲경남(1123만원) 순으로 2008년 금융위기 직전 5년 평균 대비 증가했다. 전세 재계약 비용 부담이 커진 것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매매보다는 전세선호 현상이 커지면서 전세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했기 때문이다. 특히, 세입자는 전세를 선호하는 반면 집주인들은 월세를 선호해 매물 부족까지 겹쳤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근 5년 동안 전세가격은 전국적으로 45.38% 상승했다. 금융위기 직전 5년 동안의 전세가격 변동률은 전국 15.69%로 약 3배 이상 상승률이 커졌다. 문제는 국내 가계의 소득과 자산 증가 금액 수준이 전세 재계약 비용 증가 속도에 못 미친다는 것. 부동산114가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전국 명목 가계 연평균 총소득에서 가계지출을 제외한 흑자소득으로 전세 재계약 비용 충당 가능 여부를 분석한 결과 2010년부터 3년 연속 적자를 기록하다 올해는 간신히 적자를 면한 것으로 조사됐다. 2010년 전국 재계약 비용은 2485만원이지만 2년간 가계흑자소득은 1593만원으로 892만원 적자를 기록했다. 적자폭은 2011년 들어서 약 77.09% 늘어난 1579만원이다. 2012년 적자 금액은 503만원으로 줄었다. 올해는 6월말 기준으로 2년간의 가계 흑자소득이 최근 10년 이래 최대인 2000만원으로 조사돼 전세 재계약 비용 1846만원을 충당하면 154만원 소액이 남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114는 올해 간신히 흑자 구조로 전환된 것은 소득대비 가계 지출 비율을 줄이는 일명 가계의 '불황형 흑자'가 깊어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소득 대비 가계흑자 비율도 2012년 2분기부터는 18%에서 평균 21%대를 유지해 흑자소득이 증가했다. 또한 2010년 이후 전세가격이 급등하면서 상대적으로 전세 재계약 비용 수준이 감소했다. 이미윤 부동산114 책임연구원은 "올해 재계약자의 실질적인 비용을 따진다면 재계약 비용을 충당하고 남은 소득으로 2011년 1579만원의 적자를 갚기에는 부족하다"며 "하반기 전세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면 가계 지출 비중을 줄이고 흑자소득을 늘리더라도 증가한 실질소득으로 전세 재계약 비용 부담을 현실적으로 충당하기 어렵다 보니 전세자금 대출을 이용하거나 반전세로 이동할 수 밖에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이초희 기자 cho77lov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이초희 기자 cho77lov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