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 '프래즐5' 주의보

[아시아경제 뉴욕=김근철 특파원] 글로벌 금융시장에 '프래즐 파이브(fragile five)' 주의보가 발동됐다. 프래즐 파이브란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3차 양적 완화 축소 우려로 대규모 글로벌 투자자금이 이탈해 경제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신흥국 경제권에 포함돼 있는 5개국을 지칭한다. '부서지기 쉬운 '이란 영어단어(fragile)를 이용해 골드만 삭스 등 미국의 투자 은행들이 사용하기 시작한 용어다. 프래즐 파이브에는 최근 외환위기 우려까지 나오는 인도와 인도네시아를 비롯, 터키, 브라질,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이 포함돼 있다. 지역별로도 아시아와 유럽, 남미, 아프리카 대륙 등으로 분배돼있다. 이들은 모두 지난 5월 22일 벤 버냉키 FRB 의장의 양적 완화 축소 발언이후 직격탄을 맞고 있다. 미국의 출구전략으로인한 글로벌 경제 불안감으로 이들 신흥국에 대거 투자됐던 외자(달러)가 급속히 발을 빼면서 화폐가치가 급락하고 주식시장과 경제 전체가 흔들리고 있는 악순환이 나타나고 있다. 실제로 지난 5월 22일 이후 브라질 헤알화는 달러 대비 가치가 14.9%나 떨어졌다. 올해들어서만 18%가 하락한 상태다. 인도 루피화와 인도네시아 루피아화도 각각 11.7%, 6.9% 떨어졌다. 루피아화는 이번 주 들어서만 4%가 내려갔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랜드화는 5월이후 5.8% 하락을 기록했지만 올해 들어서만 20%라는 폭락세를 보이고 있다. 정정불안까지 겹친 터키의 리라화 역시 5월이후 5.3% 떨어진 상태다. 특히 한때 승승장구하던 인도는 최근 금융위기에 처할 수 있다는 경고가 곳곳에서 나올 정도로 흔들리고 있다. 증시도 지난 달 10%가량 하락했고 지난 16일에는 하루만에 4% 급락하며 위기감을 증폭시켰다. 세계 금융시장에선 프래즐 파이브들이 크게 흔들리고 있는 것은 외풍에 취약한 공통된 경제구조를 지니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들은 모두 한동안 신흥국 경제권을 주도할 만큼 좋은 성장세를 보였다. 이과정에서 외자를 적극 유치해 경제를 빠르게 발전시키는 공통된 성장 전략을 구사했다. 마침 미국의 FRB가 다달이 850억 달러(94조8600억원)에 달하는 풍부한 유동성을 시장에 공급하자 상당수의 투자자금이 이들 국가에 몰려 호황을 누린 점도 비슷하다.하지만 최근 신흥국들이 모두 성장 정체에 빠지고 글로벌 투자자금이 일거에 빠져 나오면서 경제 동력을 급격히 잃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뉴욕타임스(NYT)는 신흥국 경제권의 침체를 집중 보도하면서 근본적인 문제는 한계에 다다른 성장률에 있다는 진단을 내놓기도 했다.브라질의 경우 지나친 중국 경제 의존도가 위기를 심화시키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현재 브라질 경제에서 중국과의 교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5분의 1 수준으로 추정된다. 파이낸셜 타임스(FT)는 20일 최근 중국 경제가 성장률 둔화 기미를 보이면서 원자재 공급 등에 치중하던 브라질도 큰 부담을 떠앉게 됐다고 분석했다. 골드만 삭스 등은 이들 국가들의 중앙은행들이 나름대로 외환 보유고 확충을 통해 위기에 대비하고 있지만 상황에 따라선 글로벌 경제에 큰 위기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특히 높은 인플레이션, 낮은 성장률, 대규모 무역역조 등이 이들 국가가 해결해야할 선결과제라고 지적했다. FRB가 9월 양적완화 축소에 실제로 나설 경우 신흥국에 투자됐던 자금이탈은 더욱 급류를 탈 가능성이 높다. 특히 최근 요동치는 미국 국채 금리 등으로 인해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수록 달러자금은 상대적으로 안전한 미국 등 선진경제권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란 것이 대체적인 관측이다. 이로인해 프래즐 파이브를 중심으로 한 신흥국 경제에 대해 밝지 않은 전망이 압도적이다. 글로벌 경제의 성장엔진이 신흥국 경제권에서 금융위기에서 벗어난 미국과 유럽 등 선진경제로 옮겨가고 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다우 존스는 신흥국 경제의 약세가 단기로 끝나지 않고 계속 이어지면서 투자자들도 손해를 볼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신흥국 경제의 중기 전망은 명백히 부정적이란 평가도 내렸다. 글로벌 경제의 뇌관으로 지목된 프래즐 파이브에 대한 우려는 좀처럼 줄어들지 않을 전망이다. 뉴욕=김근철 특파원 kckim100@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김근철 기자 kckim100@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