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심시간 식당가에 가면 이를 쑤시는 중·장년층을 흔히 볼 수 있다. 이쑤시개가 없으면 나무젓가락을 자른 뒤 뾰족한 부위로 시원하게 이를 쑤시는 볼썽사나운 장면이 연출되기도 한다. 이쑤시개를 이용해 이 사이에 낀 음식물 찌꺼기를 간단하기 없애기 위해서다. 하지만 습관적으로 사용하면 이 사이가 더 벌어지고 그 사이에 음식물이 다시 끼는 악순환이 반복되니 주의해야 한다.치아에서 눈에 보이는 치관(잇몸 밖으로 드러난 이 부분)의 뿌리는 얇은 형태로 돼 있다. 대개 이 뿌리와 뿌리 사이는 벌어져 있는데, 치아 뿌리를 감싸는 턱뼈 일부인 치조골과 잇몸이 뿌리 사이의 빈 공간을 채워준다. 젊었을 때 혹은 건강한 치아를 가진 이들은 뿌리 사이의 틈이 치조골과 잇몸으로 꽉 채워져 있어, 음식물이 낄 공간이 제한적이다. 그러나 30대 이후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치조골이 약해지고 잇몸 두께는 점차 얇아지게 된다. 이렇듯 노화가 진행돼 치아 뿌리 사이의 틈이 잇몸 위로 노출되면, 이 공간으로 음식물이 이전보다 더 끼게 된다. 따라서 이 사이에 낀 음식물을 잘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이쑤시개가 아니라 치실, 치간 칫솔 등 구강용품을 적절히 사용하는 방법을 추천한다. 실제로 음식물이 낀다며 치아를 메워달라는 환자들이 종종 있는데, 진료해보면 인위적으로 메울 수 없는 정상 치아 틈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정상 치아의 경우 인위적으로 공간을 메우면 자정 작용이 약해질 뿐만 아니라 세균이 더 번식해 되레 심한 치주염이 생길 수 있다. 그러므로 인위적인 치료는 되도록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나이가 들어 불편하지만 돋보기를 쓰게 되는 것처럼, 귀찮더라도 치실과 치간 칫솔을 휴대하는 방법이 가장 추천하는 이유다. 새이플란트 치과의원 이기훈 원장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