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나석윤 기자] 노량진과 방화대교 공사현장에서 불과 보름 사이 9명의 생명이 쓰러졌다. '안전불감증'에서 비롯된 인재(人災)인 탓에 더욱 참담한 심정이 들게 한다. '기본'을 지키지 않았던 탓에 빚어진 사고였다는 점에서 발주처인 서울시와 시공사, 감리업체 모두 변명의 여지가 없다. 무엇보다 노량진 사고 이후 지난달 20일부터 이뤄진 서울시의 공사현장 긴급점검에 방화대교가 포함돼 있었다는 사실이 큰 충격이다. 서울시의 안전에 대한 인식을 짐작케 하는 동시에 당시의 점검이 얼마나 허술하게 이뤄졌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목이다. '책임감리제'로 시행돼 직접적인 책임이 없다는 서울시의 해명은 궁색함을 넘어 비겁하게 들린다. 이제부터라도 단단히 점검하고 대비해야 한다. 지금과 같이 안전에 둔감한 상황에서 이 같은 사고가 또 다시 발생하지 말라는 법이 없다. 특히 방화대교와 같은 교량의 경우 지은 지 40년이 넘어 안전이 우려된 것이 서울시내에만 9개나 된다. 이와 관련해 지난해 11월 서울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서울시내 교량의 잔존수명을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재차 '소'를 잃은 서울시는 '외양간'을 고치는 데 분주하지만 사고가 나고 나서야 부랴부랴 서두르는 땜질식 처방은 문제해결의 근본적인 처방이 될 수 없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박원순 시장은 취임 이후부터 재난과 사고로부터 시민들이 안전한 시정을 펼치겠다고 거듭 강조해 왔다. 올해 서울시의 시정운영 목표에도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도시'를 내세웠고, 총 8800억원의 예산이 배정됐다. 특히 도시시설물 안전관리 강화에는 3387억원이 책정되기도 했다. 그러나 도시와 시민의 안전은 계획과 예산만으로 이뤄지는 게 아니다. 무엇보다 세심히 현장을 살피는 노력이 중요하다. 무엇보다 '안전'에 대한 시각부터 바뀌어야 한다. 사고가 터지고 나서 수습하는 데 쏟는 노력과 시간을 생각하면 안전이야말로 최고의 효율적 투자일 수 있다. 안전을 비용이 아닌 투자로 생각하는 것, 바로 거기에 또한 박 시장이 말하는 '시민이 주인'인 서울이 있지 않을까 한다. 나석윤 기자 seokyun1986@<ⓒ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나석윤 기자 seokyun1986@ⓒ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