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원·산학협력·자연친화…비즈니스 三多島로 거듭난 제주

스토리가 있는 산업단지 <8>제주 첨단과학기술단지

지난 2012년 4월 13일 제주 첨단과학기술단지 내 다음커뮤니케이션 신사옥 '다음 스페이스' 제막식에 참석한 최세훈 대표이사(오른쪽 다섯번째)와 우근민 제주지사(왼쪽 여섯번째) 등이 박수를 치고 있다.

제주도, 관광·농업서 IT·BT로 도약다음·한국IBM 등 앞다퉈 진출기업 만족도 높아, 단지 분양률 99.2%[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2012년 4월 13일, 제주도 한라산 북측사면의 광대한 산업단지에 우주선을 연상케 하는 현대식 건물이 들어섰다. 국내 2위 포털 사이트인 다음이 수년간의 준비 끝에 이날 신사옥을 개장하고 본격적인 '제주 시대'를 연 것. IT기업답게 사옥 마당에는 노트북으로 다음 포털사이트에 접속하는 돌하르방이 우뚝 섰다. 감귤과 돌하르방, 관광업으로 유명했던 제주도에 한국IBM, 이스트소프트 등 현지인들이 이름 한 번 들어보지 못한 낯선 기업들이 들어섰다. 육지에서 분리되어 제주도로 승격된 지 66년 만에 제주도가 새롭게 도약하기 시작했다.  ◇농림수산업ㆍ관광업이 주된 산업 = '바람 많고, 여자 많고, 돌이 많은 섬' 제주도가 육지에서 분리된 것은 지난 1946년. 도 체제가 생겨나면서 1945년까지 전라남도에 속했던 제주도는 도로 승격됐다. 하지만 도 승격 직후의 제주도는 거주민 대부분이 농림수산업에 종사하는 낙후된 곳으로, 산업 근대화가 이뤄질 환경이 조성되지 않았다. 흉년과 제주 4ㆍ3사건에 이어 6ㆍ25까지 겹치면서 지역 개발 여건은 더욱 열악해졌다.  암울한 1950년대를 보냈던 제주는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제 가치를 인정받기 시작한다. 대한민국에서 제일 큰 섬이라는 이점과 육지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지형지물, 풍부한 신화와 민담 등 관광자원이 풍부한 점에 정부는 주목했다. 1964년 6차례에 걸쳐 종합계획을 수립, 도로를 깔고 관광객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관광지를 개발했다. 한라산, 서귀포, 성산, 대정 등 5개 지역을 관광거점으로 개발하고 서귀포는 종합공업지로, 한림, 대정, 성산은 수산ㆍ축산가공 공업지로 조성했다. 제주의 대표적인 관광단지로 꼽히는 중문단지는 1972년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세워졌다. 중문관광단지를 중심으로 국제 수준의 관광지를 조성하자는 것이 기획의 골자였다.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1960년에는 연간 6600여명에 불과했던 관광객이 급격하게 늘기 시작해 30년만인 1990년에는 299만2000명으로 증가했다. 2002년에는 한해 관광객이 400만 명을 돌파했고, 최근에는 지난 4월 관광객 수만 100만 명을 넘어서는 등 연 1000만 관광객 시대를 열 것으로 기대된다. 관광수입도 지난 1980년도에는 260억 원에 불과했지만 이제는 2조원 대를 돌파하면서 100배가량 증가했다. 제주지역 총 생산액 중 관광수입이 차지하는 비중도 1970년 3%에 불과했지만 1990년에는 23%, 지난 2010년에는 33%를 차지하는 등 주력산업으로 발전해나가고 있다.  관광산업의 비중이 급격히 늘었다지만 감귤농사 등 농림어업은 여전히 제주도민들의 주요 생업이다. 2011년 기준 지역 내 농림어업 비중은 제주가 17.9%로 전라북도(9.6%), 전라남도(7.6%) 등을 제치고 전국에서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감귤농사는 한 때 '대학나무'라 불릴 정도로, 높은 수익으로 유명했다. 감귤나무 열 그루만 있어도 자식을 충분히 대학에 보낼 수 있다는 데서 유래한 별명이다. 제주도의 감귤 농업은 50년대 30헥타르(ha)에 불과했지만 60년대 후반에는 30배 늘어난 1000ha로, 1990년대 후반에는 2만5000ha까지 늘었다. 최근에는 과잉생산과 수입개방 등으로 재배면적이 다소 줄었지만 여전히 감귤농사는 제주도 주민들의 생명산업이다. 자동차를 타고 제주도 해안도로를 달리다 보면 농가들이 직접 판매하는 귤 가게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ITㆍBT업체 받아들이며 한 단계 도약 = 한때 제주도 총생산의 30%를 차지했던 농림수산업의 비중이 이제는 20% 이하로 하락하고, 관광산업이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제주도의 현실이다. 하지만 관광산업은 경기의 부침에 따라 흥망성쇠가 뚜렷이 갈리고 유행이 지나면 쇠락할 수 있는 만큼 제주도를 관광지 이상의 비즈니스 허브로 키우고자 하는 시도가 꾸준히 진행돼왔다. 제주도 첨단과학기술단지의 탄생은 이런 시도와 밀접하게 맞물려 있다. 1998년 국민의 정부가 출범하면서 그동안 구축된 관광 인프라와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사람ㆍ상품ㆍ자본의 자유로운 이동과 경제활동의 편의가 최대한 보장되는 국가개방거점을 개발하자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이에 따라 정부는 2001년 11월 '제주국제자유도시기본계획'을 확정하고 각 분야별로 사업을 추진해 나가고 있다. 첨단과학기술단지는 제주도를 국제자유도시로 만들겠다는 계획의 핵심이다. 농업과 관광업밖에 없던 제주도를 첨단 IT산업의 거점으로 개발, 관광과 비즈니스 두 토끼를 한 번에 잡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일반 제조업과 달리 첨단산업은 부가가치가 높아 아름다운 자연환경 속에서 직원들이 여유 있게 근무할 수 있어 생산성도 더욱 높일 수 있게 됐다.  단지 1호 입주기업인 다음이 대표적인 사례다. 다음은 2004년부터 8년간 단계별 이전을 하는 등 꾸준히 준비한 끝에 서울에 위치한 사옥을 제주도로 옮기는 데 성공했다. 제주도가 제시하는 세제혜택도 매력적이었지만, 제주도로 옮김으로써 직원들의 창조성도 한층 높아졌다. 다음 관계자는 "서울에서는 2~3시간 가까운 출퇴근 시간에 에너지를 소진하고 육아 등 가정생활과 일을 병행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직원들이 많았지만, 본사를 제주도로 이전하면서 아름다운 자연환경 속에서 자유롭게 생각하고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돼 만족도가 높아졌다"며 "일과 삶의 조화를 통해 업무 효율이 높아지고 사고의 폭이 넓어진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  또 자연에 둘러싸인 첨단과학기술단지의 쾌적한 환경 속에서 자연친화적인 업무 공간 구축이 가능하고, 제주대학교와 제주국제대학교 등 지역 내 교육 기관들과 산학협력을 하는데도 유리하다고 덧붙였다. 향후 단지 입주를 예정한 IT, BT 기업들이 늘어나면서 동종업계와의 원활한 협업도 기대할 수 있다. 기업들의 이같은 만족도를 반영하듯 2007년 35.8%에 불과했던 단지 분양률은 지난해 99.2%까지 치솟았다. 최근에 조성된 산업단지들 중에서도 대단히 성공적인 축에 속한다. 이 성공에 힘입어 지자체를 중심으로 한 제 2단지 건설 계획도 추진되고 있어, 제주 첨단과학기술단지의 미래는 여전히 밝다. 이지은 기자 leezn@<ⓒ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이지은 기자 leezn@ⓒ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