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금융포럼]현오석 부총리 '자본의 급격한 회수대비, 자본유출입 감시강화'

[아시아경제 김대섭 기자]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7일 "선진국의 양적완화에 따른 유동성 과잉 상황에서 신흥국으로 자본유입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며 "자본의 급격한 회수까지 고려해 자본유출입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현 부총리는 이날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3회 서울아시아금융포럼' 환영사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이를 유념해 금융 규제 강도와 시기를 조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현 부총리는 특히 "규제 강화가 선진국을 중심으로 논의되면서 신흥국에 의도치 않은 부작용을 미칠 수 있다"며 "자본유출입의 변동성 확대와 자산버블 등 부정적 파급효과를 항상 염두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 부총리는 금융이 실물경제의 버팀목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각국은 역내 자본시장 발전을 통해 금융부문의 실물 부문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며 "특히 아시아금융은 외부자본 의존도가 높고 투자자금도 단기적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아 대외요인에 따라 경기변동의 진폭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현 부총리는 구체적인 대안으로 "핵심적인 자본시장 인프라를 확충해 자본시장을 육성해야 한다"며 "역내의 가용재원이 장기투자로 전환되는 매커니즘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아시아금융은 은행이 주도하고 주식채권시장 등이 미성숙한 구조로 중장기적 관점에서 대규모 자금조달 등을 어렵게 할 수 있는 만큼 이같은 부분에 유의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 부총리는 또 새로운 경제발전 패러다임인 창조경제의 실천을 위해 창조금융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현 부총리는 "이러한 맥락에서 창조경제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벤처산업 등에 대한 투자가 원활히 이뤄져야 한다"며 "이를 위해 정부는 제도를 개선하고 창업ㆍ회수ㆍ재도전의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해 나갈 것"고 말했다. 이세정 아시아경제신문 사장은 개회사를 통해 "아시아국가들이 글로벌 금융의 중심으로 도약하기 위해 힘찬 발걸음을 내딛고 있다"며 "이날 포럼으로 아시아 금융시장의 신성장동력 발굴과 국가간 협력방안을 살피는 계기가 마련됐다"고 말했다. 이날 포럼엔 현 부총리를 비롯해 어윤대 KB금융지주 회장, 한동우 신한금융지주 회장, 홍기택 KDB금융지주 회장, 이순우 우리금융지주 회장 내정자, 최흥식 하나금융지주 사장, 박병원 은행연합회 회장 등 금융계 인사 300여명이 참석했다. 김대섭 기자 joas11@<ⓒ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김대섭 기자 joas11@ⓒ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