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해외투자자엔 너무 낯선 '창조금융'

[아시아경제 조태진 기자]"창조금융, 대체 무슨 뜻이죠?" 지난달 25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한·중 국제금융컨퍼런스에 참석한 중국사회과학연구원 관계자가 불쑥 꺼낸 말이다. 이날 행사는 박근혜 정부의 창조금융과 중국의 과기금융(科技金融)을 양국 신성장 협력 패러다임으로 삼기 위해 마련된 자리였다. 하지만 그는 창조금융의 정의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 영미권 사전에 'Creative Finance' 'Creative Capital'이라는 용어가 없다보니 더더욱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이었다. 지레짐작으로 과학기술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금융보다는 포괄적인 개념으로만 받아들이는 듯했다.  새 정부 출범 후 '창조경제'의 정확한 개념을 놓고 '갑론을박'이 한창이다. '창조금융' 역시 마찬가지다. 외국인은 차치하고 국내 금융투자업계에서도 이른바 '붕 떠있는' 개념이다. 새 정부가 기치로 내세운 창조경제 실현을 뒷받침할 수 있는 금융 정도로 이해할 뿐이다.  '창조경제'란 용어를 처음 쓴 사람은 영국의 경영전략가인 존 호킨스다. 2001년 그의 저서 'The Creative Economy'에서 '창조경제란 창의력으로 제조업과 서비스업, 유통업 등에 활력을 불어넣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이에대해 외국계금융기관 관계자는 "참신한 아이디어만 있으면 금융기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냐"며 "창조금융의 개념조차 모호한 상황에서 금융당국이 정책역량을 집중하겠다고 한다면 자칫 글로벌 플레이어들의 신뢰를 잃을 수 있다"고 꼬집었다. 증권가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흘러나온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자본시장법 개정안 시행으로 국내 대형증권사들의 IB영업이 본격화되면 해외투자자들에게 새 정부의 금융정책 기조를 제대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하는데 난감하다"며 "창조경제라는 기조에 코드 맞추기식으로 개념을 만들려는데 얽매이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굳이 '창조'라는 말을 여기저기서 차용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조태진 기자 tjjo@<ⓒ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조태진 기자 tjjo@ⓒ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