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공공·민간 토지개발사업 관리 강화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서울시가 공공 및 민간 토지개발사업 관리 강화에 나선다. 전문 부서를 중심으로 잠실운동장 일대 마이스(MICE)산업 인프라구축, 수색·성북역세권 개발사업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7일 서울시는 도시계획국 산하에 설치한 공공개발센터의 인력을 정비하고 서울연구원에 공공연구개발센터를 신설,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우선 공공개발센터는 민간과 공공이 보유한 시내 개발 가능지역을 조사해 자료를 구축한다. 개발우선순위 및 활용방향을 설정해 토지자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다. 주요 개발 프로젝트 추진 시에는 전문가를 참여시키고 포럼과 토론회를 열어 공감대를 만들 예정이다. 또한 센터의 기능을 민간·공공 가용지와 주요 철도시설 및 역세권, 시유지 개발사업 등에 집중시킨다는 방침이다. 민간·공공 가용지는 거점지역 위주로 지역별 종합계획을 수립한다. 예컨대 한국전력본사 등 공공기관 지방이전으로 대규모 가용지가 발생하는 코엑스~잠실운동장 일대는 계획의 중심에 마이스(MICE)산업 인프라 확충이 놓이게 된다. 창동차량기지 등은 동북권 균형발전차원에서 종합 개발계획이 수립된다. 수색역과 성북역 등 주요 역세권에 대해 코레일, 철도시설관리공단, 해당 자치구 등과 협의해 개발방안을 찾게 된다. 철도차량기지 이전이 검토중인 부지에 대해서는 대규모 개발사업이 추진될 것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사업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마포 석유비축기지 등 대규모 시유지는 사회적 공감대를 바탕으로 최적의 활용방안을 마련하게 된다. 마포석유비축기지의 구체적인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추가 개발이 필요하거나 잠재력이 있는 다른 시유지에 대해서도 효율적인 사업방식을 마련할 계획이다.이밖에 시는 민간 가용지 개발에서도 단순 인허가에만 국한됐던 시의 역할을 한층 강화하기로 했다. 과거 1만㎡ 이상의 민간 가용지를 대상으로 운영됐던 ‘도시계획변경 사전협상’ 제도는 1㎡ 미만으로 기준을 바꿔 민간사업자와의 논의의 폭을 확대한다. 이성창 서울시 공공개발센터장은 “공공개발센터를 보스턴의 재개발청, 싱가포르의 도시개발청과 같은 전문조직으로 발전시켜 모든 도시개발사업에서 공공의 역할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배경환 기자 khbae@<ⓒ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배경환 기자 khba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