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가디언)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김용(54·사진) 세계은행 총재가 "절대 빈곤을 해소하는 일이 에이즈 퇴치보다 더 어려운 문제"라고 강조했다.김 총재는 1987년 비영리 의료단체 '파트너스 인 헬스'를 설립해 결핵과 에이즈 퇴치 등 개발도상국의 의료구호 사업에 헌신하다 지난해 7월 제12대 세계은행 총재에 취임했다.김 총재는 4일(현지시각) 영국 일간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하루에 1.25달러 이하로 생활하는 절대 빈곤층 비율을 현재 21%에서 2030년까지 3%로 낮춘다는 목표는 달성할 수는 있지만 이는 매우 어려운 일"이라고 말했다.지금까지는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 덕분에 세계적으로 최저 소득이 향상됐지만, 앞으로는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절대빈곤층을 줄이는 일이 예전같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설명이다.김 총재는 "현재 추세가 계속된다면 극심한 빈곤층 비율은 (기존 목표치인) 6%로 줄어들겠지만 현실적으로 감소 추세는 매우 완만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특히 빈곤층 해소 목표는 인도와 아프리카 사하라사막 이남 지역, 분쟁국들의 발전 상황에 그 성패 여부가 달려있다고 보았다.김 총재는 "세계적으로 절대빈곤 인구가 12억명에 달한다는 사실은 우리 양심에 오점"이라며 "2005년 물러난 제임스 울펀슨 총재처럼 세계은행을 빈곤 퇴치에 초점을 맞춘 기구로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그는 빈곤을 해소하려면 추가적인 성장이 필요하고, 새로운 일자리의 90%는 민간 영역에서 만들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정부 역시 성장을 이끌만한 더 포괄적인 정책을 구축해야 한다는 설명이다.김 총재는 "빈곤 해결을 위해서는 성장이 필요하고, 국내총생산(GDP)을 늘리려면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한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젊은층과 여성, 소수민족 등을 위한 맞춤형 지원 정책 또한 정부가 시급히 마련해야 할 복지서비스로 꼽혔다. 복지수당 등 정부가 의료와 교육 등에 투자하면 하위소득 40%가 그 성장을 나눌 수 있으며, 의료서비스의 경우 빈곤국가에서는 가능한 무료로 혜택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지구온난화와 같은 환경문제 또한 빈곤층 감소를 위해 해결돼야 할 부분이다.김 총재는 "우리의 아이들, 또 그들의 아이들 세대까지 '깨끗하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어주기 위해 세계은행과 UN이 과감하고 실행가능한 계획을 세울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조인경 기자 ikjo@<ⓒ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온라인뉴스본부 조인경 기자 ikjo@ⓒ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