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홍원 '재산 부정하게 불린 적 없어'…논란 일축

[아시아경제 김효진 기자] 국회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있는 정홍원 국무총리 후보자가 변호사 시절의 재산증식 관련 논란을 일축했다.정 후보자는 12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변호사 시절) 수임한 사건 중에 특별히 내세울 만한 사건은 없었다"며 "아는 사람들, 친지들의 사건을 주로 했다"고 말했다.정 후보자는 또 "대형 사건이나 재벌 사건은 한 번도 해 본 적이 없다"며 "전관예우를 받으려면 검사를 그만 둔 2004년 직후에 변호사를 해야 돈도 벌텐데 변호사 개업 석 달 만에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상임위원으로 갔기 때문에 전관예우 이야기를 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주장했다.정 후보자는 2006년 11월 중앙선관위 상임위원 자리에서 물러나 2008년 6월 대한법률구조공단 이사장으로 가기까지 법무법인 로고스의 고문변호사를 맡았다.이 기간 동안 정 후보자 예금이 5억4000만여원 늘어나 정치권 등에서 '전관예우' 의혹이 불거졌다.정 후보자는 이에 대해 "변호사를 하는 동안 6억원 정도가 불었는데 2년을 했으니 나누면 한 달에 3천만원 정도"라며 "한 달에 3천만원 정도를 받은 것은 현재 변호사 업계 상황으로 봐서는 과다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정 후보자는 1995년 김해시 삼정동 부동산 투기 의혹과 관련해 "서울에서 부산으로 전근을 가면서 서울 집을 판 차액이 생겨 부산에 먼저 땅을 샀다"며 "이후 서울로 올라왔는데 집값이 너무 올라 한동안 전세를 살다가 부산 땅을 팔아 서울에 집을 샀다. 김해 땅은 서울 집을 사고 남은 돈으로 산 것"이라고 말했다.정 후보자는 이어 "나중에 좋은 곳에 평수가 넓은 전원주택을 지으려면 지금 서울집과 김해 땅을 팔아야 하는 상황"이라며 "항상 집 한 채 갖고 산다고 생각해왔다"는 뜻을 밝혔다.그는 "(김해시 땅이) 투기 지역도 아니었고 은퇴하고서 전원주택을 지으려 했는데 현장에 가서보면 '무슨 이런 땅을 샀나'라고 하게 될 것"이라며 "지금은 주위에 단독주택들이 들어차서 (전원주택으로는) 별 의미가 없다"고 부연했다.정 후보자는 그러면서 "재산을 부정하게 불린 적은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김효진 기자 hjn2529@<ⓒ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효진 기자 hjn2529@ⓒ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