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산재 아리랑, 한 목소리로..해외동포·북한 공조 필요'

지난 6일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에서 아리랑 인류무형유산 등재 확정을 내리기 앞서 지난달 30일 시민단체, 지역 관계자 등이 모여 '아리랑 포럼'을 열고 등재 이후 과제에 대한 논의를 벌였다.

[아시아경제 오진희 기자] 아리랑의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가 확정되면서, 국내 여러 지방에 산재해 있는 아리랑을 하나로 아우르는 구심점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일고 있다. 또 ▲개별 아리랑의 연구·보급 ▲해외 동포사회의 아리랑에 대한 관심 ▲북한과의 공조 등 과제가 여전히 남아있다는 게 학계와 시민단체들의 지적이다. 지난 6일 아리랑이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인류무형유산으로의 등재가 최종 확정됐다. 이미 지난달 등재권고 판정을 받아 등재 확정은 유력한 상황이었다. 이즈음 학계와 시민단체, 지역 관계자들은 "지역에 산재한 아리랑에 대한 이권다툼 보다는 하나의 목소리를 내는 작업이 필요하다", "북한이 이번 등재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관심을 갖자" 등 의견을 나누며 등재 이후 과제들에 대한 논의를 펼쳤다. 지난달 30일 '아리랑 포럼'이 열렸다. 이 모임은 한겨레아리랑연합회, 신나라레코드사, 이지뮤직, 아리랑아카데미, 서울아리랑보존회가 공동 발의, 구성한 아리랑정책 개발 모임이다. 여기서 서종원 단국대 동양학연구원 교수는 "자칫 아리랑 단체 간의 이권싸움이 벌어지거나 서로 양보하지 않는다면 '아리랑의 세계화" 작업이 무의미해질 수 있다"라며 "관련 단체들의 협의체를 구성하고, 이 단체를 통해 하나의 목소리를 내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아직까지 문화재로 지정된 아리랑은 1971년 12월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1호 '정선아리랑' 뿐이다. '진도아리랑'은 전남도무형문화재34호로 지정된 '남도잡가' 안에, '중원아라성'은 충북무형문화재 제5호 '중원마수리모심기소리'의 하나로 속해있다. 또 '강릉아라리'는 강원무형문화재 제5호 '강릉학산오독떼기' 안에 속해 있어, 이처럼 여러 아리랑들이 독자적인 지위를 갖지 못한 실정이다. 밀양아리랑·서울(본조)아리랑·문경아리랑·예천아리랑·상주아리랑·춘천의병아리랑 등은 그나마도 제도적 관심조차 받지 못하고 있다. 아리랑 중에 축제를 진행해 오고 있는 곳은 ▲강원 정선 ▲경남 창원 ▲경남 밀양 ▲서울 성북구 ▲전남 진도 ▲광주광역시 ▲경기도 ▲경북 상주 ▲충북 공주 등이다.서 교수는 "이러한 개별 아리랑이 지닌 특성을 나름대로 밝혀 각각의 아리랑들이 별개의 것이 아닌 서로 관련성을 지닌 채 전승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일이 중요하다"며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는 아리랑을 체계적으로 조사, 정리하면서 무엇보다 여러 아리랑 단체들이 대의적인 차원에서 아리랑의 세계화 작업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문화재청은 '무형문화유산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 아리랑을 '국가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키로 했다. 전국적의 아리랑 전승단체를 우선 조사해 '국가무형유산 전승공동체'로 인정하고, 이외에 지역별 보호가치가 있는 전승자 발굴도 장려해 시도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한다는 계획이다. '국가무형문화유산'은 중요무형문화재의 명칭을 변경한 것이다. 이번 법률안은 이미 국회에서 지난달 7일 발의됐으며 내년 상반기에 제정, 하반기에 시행한다는 목표다.더불어 해외에 퍼져있는 아리랑과 북한과의 공조에 대한 관심도 이어져야 한다는 주장들도 나왔다. 박경란 이지뮤직 대표는 "해외동포들에게는 아리랑 등재에 대한 자긍심을 갖게 하는 공연이 필요하고, 외국인들에게는 아리랑의 보편적 가치를 전해주어 한국의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공연이 되어야 한다"며 "그래서 중국·러시아·일본의 공연은 동포사회라는 점을 감안하여 ‘국악 아리랑’이 중심이 되게 하고, 유럽 지역 문화원 공연은 기악연주와 양악기 연주 중심으로 구성하는 게 좋겠다"고 제안했다.김연갑 한겨레아리랑연합회 사무총장은 "이번 등재확정은 우리 내부에 의해서라기보다는 중국 자국 문화재 지정에 대한 대응 차원인 것으로 봐야 한다"면서 "과연 이번 등재가 중국의 자국 문화재 지정이 갖는 부정적 요소를 어느 정도로 억제할 수 있고 북한이 이를 이번 등재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주시하며 관련 노력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한다"고 역설했다.지난해 말 최광식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북한과 함께 아리랑을 유네스코에 공동 등재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남북관계 경색으로 북한이 빠진 채 남한만 단독으로 지난 6월 등재 신청이 이뤄졌던 것이다. 더욱이 이는 지난해 5월 중국이 조선족 아리랑을 자국의 국가급 무형유산으로 발표한 이후 지난 2009년 '정선아리랑'을 심사대상으로 신청한 것을 '전국민이 부르는 아리랑'으로 수정해 뒤늦게 재신청한 것이라 논란이 된 바 있다. 한편 문화재청은 '아리랑'의 전승활성화 5개년 정책방안을 계획, 336억2000만원을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내년부터 2017년까지 ▲아리랑 아카이브 구축(3억5000만원) ▲아리랑 상설 및 기획 전시(9억7000만원)▲아리랑 국내외 정기공연 개최(27억원) ▲아리랑 학술조사 및 연구 지원(18억원) ▲지방자치단체 아리랑 축제 지원(20억원) ▲국외 주재 교육원(16개국 38곳)을 활용한 아리랑의 보급 선양(18억원) ▲한민족아리랑센터 설립·운영(250억원) 등이 추진된다. 한민족아리랑센터'는 재외동포, 다문화가족, 해외입양자, 북한 이탈주민 등 총 784만명을 대상으로 한국인 정서를 표현하는 전통문화 교육프로그램을 보급한다는 취지로 세워진다.오진희 기자 valere@<ⓒ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오진희 기자 valer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