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수입물가가 1%포인트 오르면 소비자물가가 0.04%포인트 가량 상승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또 환율은 1%포인트 변동할 때마다 소비자물가에 0.1%포인트 정도 영향을 미쳤다.21일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의 김기호 전문연구원은 '국외물가의 국내물가 전가효과 분석'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대외개방도는 수입이 국내총생산(GDP)의 50%를 차지할 정도로 높아 국제원자재 가격, 환율 등이 국내물가에 영향을 미칠 여지가 크다"며 이 같이 밝혔다.보고서에 따르면 수입물가(원화 기준)는 '가공단계별 생산자물가'와 '소비자물가'에 차례로 영향을 미쳤다.실제 2000년대 이후 수입물가 상승률이 1%포인트 오르면 생산자물가는 3분기 후까지 약 0.5%포인트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런 물가 전가효과는 1분기 이내에 나타나 전가효과의 지속성이 짧았다.생산자물가가 소비자물가에 미치는 영향력은 수입물가가 생산자물가에 미치는 영향력보다는 작았다. 생산자물가가 1%포인트 상승하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분기 후까지 약 0.1%포인트 올랐다. 이 또한 전가효과의 대부분이 1분기 이내에 나타났다.수입물가가 소비자물가에 미치는 영향력을 보면 수입물가 상승률이 1%포인트 오르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분기 뒤까지 0.04%포인트 상승하는 것으로 추산됐다.환율 변동률도 물가에 영향을 미쳤다. 2000년대 이후 환율 변동률이 1%포인트 변화하면 이후 3분기에 걸쳐 생산자물가는 0.5%포인트, 소비자물가는 0.1%포인트 각각 변동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처럼 수입물가 변동보다 환율 변동이 소비자물가 변동에 미치는 전가효과가 2.5배 정도 크게 나타나는 것은 소비자물가 구성항목 중 환율의 영향을 받는 품목(서비스 포함)의 비중이 수입물가 구성항목(서비스 제외)의 비중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김 연구원은 "환율 변동률 변화가 생산자물가 및 소비자물가에 미치는 영향력은 대부분 1분기 이내에서 유의하게 나타나 환율 변동이 국내 물가에 반영되는 데는 많은 시차가 걸리지 않는 것으로 분석됐다"며 "환율이 물가에 전가되는 시점과 통화정책이 효과를 발생하는 시점 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 통화정책 대응 과정에서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조강욱 기자 jomarok@<ⓒ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조강욱 기자 jomarok@ⓒ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